-
-
현청접대과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2
아리카와 히로 지음, 홍은주 옮김 / 비채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하늘을 나는 판다의 모습이 경쾌하게 느껴지는 책표지가 인상적인 아리카와 히로의 '현청접대과'... 제목만 보아서는 무슨 뜻으로 붙여진 제목인지 호기심과 궁금증을 갖게 한다.
고향.. 언제 들어도 따뜻하고 포근해지게 만드는 단어다. 서울에서 태어나고 자란 현재까지 살고 있는 나는 크게 고향에 대한 느낌이 없다. 헌데 지방에서 올라 온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나이를 먹어갈수록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짙어 간다는 말을 종종 듣게 된다. 고향에 대한 애틋함은 고향 사랑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현청접대과'의 저자 아리카와 히로님도 고향 고치 현의 홍보대사를 맡게 되면서 고향을 알리기 위해 '현청접대과' 작품을 쓰셨을 만큼 고향에 대한 사랑이 각별하다.
고치 현청 관광부에 '접대과'가 새로이 생겼다. 고치 현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으로 만들기 위해 만들어진 부서... 부서의 가장 젊은 팀원 가케미즈는 지역출신의 유명인을 홍보대사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제의를 받은 사람 중에 작가 요시카도가 속해 있다. 요시카도를 통해서 20년 전에 사라진 제안 건 '판다유치론'에 대해 알게 되고 이 건을 추진한 인물을 만나러 가는데... 이 과정에서 기요토의 딸에게 봉변을 당한다. 그녀가 왜 이런 행동을 했는지는 가족만의 아픔이 존재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눈앞의 이익만을 쫓는다. 누구보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고치현을 사랑했던 기요토 가즈마사의 판다유치론은 관료주의 젖어 있는 공무원들과 철밥통만 지키면 된다는 안이한 생각으로 무산된다. 기요토의 새로운 계획은 가케미즈, 다키, 요시카도의 협조 하에 잘 진행되어 가는 듯 했지만...
지역 발전이란 커다란 소재로 네 명의 청춘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 가는 이야기는 유쾌하고 발랄하다. 서로 좋은 감정을 가지게 되는 남녀 사이의 소소한 이야기는 물론이고 어긋난 관계, 새로운 시작은 현실 속에서도 충분히 만날 수 있는 일들이라 공감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4분의 1일 서울에 살고 있다. 너무나 좁은 면적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 사람들... 지방의 균형 발전이 제대로 이루어졌다면 이런 현상까지는 일어나지 않았을 거란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균형 있는 지역 발전이란 것이 사실 생각보다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 몇몇 지방을 빼고는 지방재정이 거의 적자라고 알고 있다. '현청접대과'를 통해 우리나라 지방의 발전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여겨진다.
백수 알바, 내 집 장만기를 통해서 저자를 알게 되었는데 '현청접대과'는 전작에서 느꼈던 경쾌한 유머가 업그레이드 된 느낌이다. 이미 드라마로도 만들어졌고 곧 영화로 만들어진다니 소식까지 있는데 재밌게 읽은 작품이기에 영화에 대한 관심도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