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책 - 오직 사랑, 사랑만이 필요합니다
장상용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믿음, 소망, 사랑...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고 한다. 세상에 그 어떤 말보다 사람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행복하게 만드는 말은 아마도 '사랑'이 아닐까 싶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랑을 주고 싶고 받고 싶어 한다. 간혹 어긋난 사랑으로 하여 힘든 사람들도 있지만 정상적인 사랑의 모습이라면 충분히 본인들 뿐만아니라 옆에 있는 타인들까지 행복한 감정이 전이되는 기분을 느끼기도 한다.  

 

사랑에 대해 쓰여진 에세이는 이전에도 무수히 많이 보아왔다. 그만큼 사랑을 주제는 인간이 우주에 존재하는 동안은 영원히 존재하는 제일의 테마일 것이다. '사랑책'은 ' 오직 사랑, 사랑만이 필요합니다'란 부제목을 붙여서 나온 장상용님의 사랑에 관한 에세이다. 책표지부터 귀엽고 사랑스러운 느낌이 강해 사실 여자분이 저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살짝 하기도 했다. 허나 책 속에 아내의 손을 살짝 잡으며 마음을 표현하는 대목에서 저자가 남자란 걸 알 수 있었다.

 

사랑책 속에는 우리가 그동안 무수히 만났던 많은 문학 작품들 속의 주인공들의 이야기도 있고 영화의 작품 속 사랑이야기, 동물를 향한 사랑, 오페라, 만화 등... 참으로 다양한 모습의 사랑이 있다. 많은 작품들은 나의 마음을 차분히 해주고 사랑에 대한 의미를 돌아보게 한다.

 

요즘 같으면 절대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되는 소아성애자라고 불러야 할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의 험버트씨... 아무리 어린 시절 안타까운 첫사랑에 대한 기억이 강하게 남았다고해도 어떻게 두 번의 띠동갑의 나이의 차이가 나는 롤리타에게 마음을 빼앗길 수 있는지... 롤리타를 얻기 위해 그녀의 엄마와 결혼까지 감행하고 아내의 죽음과 롤리타와의 여행... 결국 그에게서 도망친 롤리타를 끝까지 찾아다니는 험버트씨의 집착이 무섭게 다가온다. 물론 이 작품이 문학작품으로 인정받아 읽어보려고 몇 번이나 노력했는데도 영 불편해서 중간도 채 못 읽고 포기한 작품이다.

 

책도 좋았지만 영화로도 좋았던 '안나 카레니나'의 사랑, 레미제라블에서의 에포닌의 안타까운 사랑은 책보다 영화를 보면서 더 감동적으로 보았기에 지금도 기억이 생생하다. 자신의 목숨까지 던진 그녀의 열정어린 사랑이 슬프고도 아름답게 기억된 작품이다. 잘 나가던 시절도 있었지만 노숙자로 전락한 자신에게 더 힘든 장애인이 가져다 준 온정으로 다시 일어설 힘을 갖게 된 이야기, 죽음을 선고 받은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남자의 가슴 울리는 편지 등등 무수히 많은 작품들 속의 사랑이야기는 사랑이란 홍수 속에 갇혀 살지만 항상 사랑에 목마른 우리들에게 사랑의 의미와 생각을 하게 짧지만 인상 깊게 풀어내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은 사랑을 표현하는데 서투르다. 많이 좋아졌다 고하지만 사랑이란 감정도 충분히 표현하고 알려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성공하고 부유하게 되었지만 어렵던 시절의 습관을 버리지 못해 제대로 맛있는 음식도 즐기지 못하는 배우의 이야기를 보면서 사랑 역시도 표현하지 못하고 가슴에만 품고 있다면 같은 결과를 가져올 거란 생각이 들기도 했다. 매일매일 위태로운 하루하루를 견디고 산다는 이야기에 상당부분 공감하면서 힘들수록 더 많이 사랑하는 마음이 필요하다. 참으로 예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