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인간이 정말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시대의 이야기꾼으로 불리우는 작가 성석제님의 책을 난 아직 제대로 읽어 본 적이 없다. 예전에 여러 명의 작가님과 함께 쓴 짧은 글을 본 적이 있는 게 전부라서 '이 인간이 정말'이 성석제님의 책을 사실상 처음으로 만났다고 볼 수 있다. 현실 속에서 충분히 만날 수 있는 캐릭터들이라 한편으로 보면 찌질하고 돌려보면 애잔하고 어쩜 저럴까 싶은 생각도 드는 인물들이 단편 속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공감은 하면서도 결코 가볍게 웃으며 넘길 수 없는 이야기들이라 나를 돌아보고 내 가족, 내 이웃의 모습을 그들 속에서 발견하게 된다.

 

책의 제목으로 나온 '이 인간이 정말'의 내용 속 남자는 한마디로 퇴짜 맞기 딱 좋은 남자란 생각이 절로 들게 한다. 맞선 장소에 나온 여성에게 자신은 어머님의 강요에 의해 나온 백수나 다름없는 인간이라고 칭하며 그의 어머니가 아무리 상사라고해도 눈부신 미모의 맞선녀가 강요당하다시피 나온 상황을 이해하기 힘들다는 식으로 말을 시작한다. 여기에 식사를 시키고 나오는 음식에 대한 아는 상식을 총동원해서 결코 먹어서는 안 되는 음식임을 확인시켜 준다. 여자가 번번이 음식을 남기는 이유를 아는지 모르는지 남자는 여전히 혼자만의 이야기에 취해 여자에 대한 배려는 나몰라 한다. 하품까지 하는 여자의 행동에도 맞선남은 여자로서의 욕구 해결에 대한 차마 입에 담지 못할 말까지 서슴지 않는다. 찌질함을 넘어 그 자체가 최악인 남자인 것이다. 이런 남자와의 만남을 뒤로하고 나오는 여자는 꾹꾹 참았던 욕 한마디를 날려주며 남자에 대한 평을 하는데.. 이 대목에서 나도 모르게 빵 웃음이 터졌다. 세상에는 아는 것을 실생활에 유용하게 이용할 줄 아는 남자가 있는가 하면 부모의 재력과 자신의 배움을 자랑하고 싶어 안달인 사람도 존재한다. 맞선남은 이 모든 것을 가진 그야말로 재수 없는 남자다.

 

진심어린 사과가 있었다면 결코 경찰관까지 부르지 않아도 좋았을 자동차 접촉사고를 다룬 이야기, 오십대 중반의 명퇴로 라오스에서 재기를 꿈꾸는 남자가 여행 온 사람들에게 접근해서 자신만을 믿고 따르면 성공할 수 있는 사업에 대한 이야기는 어디선가 많이 들어 보았거나 들었음직한 이야기라 사실 읽으면서 조금 짠하게 느껴지기도 했던 이야기다. 학창시절 동경하던 여학생에 대한 추억을 가지고 있는 이혼남의 이야기,  주인공에게 단 한 벌의 외투만을 남긴 아버지에 대한 회상과 그의 사고를 미연해 방지해 주는 이야기, 시대가 현대가 아니라 조선시대에 있었던 일이라 색다른 재미를 주는 '유희'... 억울한 죽음을 맞은 유희가 시간이 흘러 아들로 인해 다시 명예회복이 된 이야기 등등..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풍기는 이야기들로 인해 왜 저자를 이야기꾼이라고 부르는지 어렴풋이 느낄 수 있었다. 특히 남자들의 진한 우정을 느끼는 학창시절에 대한 친구에 대한 진실과 거짓으로 절묘하게 버무려진 인물 이주선과 그의 단 한 명의 인구 오세호의 이야기도 흥미로웠고 평생직장이 아닌 40대만 넘어서면 명퇴나 퇴직으로 인해 고통 받는 남자들의 아픈 현실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한 '남방'이 기억에 남는다.

 

평소에 단편소설에 대한 재미를 크게 느끼지 못하는 나지만 '이 인간이 정말'은 기대한 것보다 재밌게 읽었다. 현실 속에서 우리가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어 더 재밌고 흥미롭게 느껴졌다는 생각이 든다. 흔한 이야기가 아니라 익숙한 이야기를 공감을 이끌어 내며 재밌게 풀어낸 책이다. 이 책을 읽고서 성석제란 작가님의 책들이 궁금해진다. 기회가 되는대로 찾아서 읽어 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