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문力사전 - 세상을 읽는 힘
김동주 지음 / 종합출판(미디어)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사전을 재미로 읽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허나 세상을 읽는 힘 '인문力 사전'은 사전도 충분히 재밌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책이다.
부제목으로 세상을 읽는 힘이 된다는 '인문力 사전' 평소에 좋아하는 장르 중 하나인 인문학이지만 책을 읽다보면 한 번씩 어려움을 느끼곤 한다. 이런 나에게 인문학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사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허나 막상 책의 첫 장을 열고 읽어보며 이건 뭐야? 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단어가 가진 기존의 의미를 전혀 다른 식으로 표현한 기발하고 유쾌한 책이란 걸 알 수 있다.
평소 유머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이런 식의 해석을 가미한 것을 보았을지 모르겠다. 기껏 내가 아는 유머는 개그콘서트나 아들이 한번씩 툭툭 던져주는 유머가 전부다. 그만큼 유머를 잘 모르고 즐기는데도 서툴다. 하나의 일반적인 인식으로 고착된 단어가 전혀 의외의 뜻을 가진 단어로 다가올 때 느끼는 유쾌함은 생각보다 컸다. 순간순간 나도 모르게 함박웃음을 터트리기도 했을 정도다. 저자가 누구기에 이런 기발한 생각을 했을지 저절로 궁금해져 그의 이력을 찾아보게 만들기도 했다.
책에 담겨진 단어들이 전부 하나같이 예상외의 뜻을 가진 단어로 변신했지만 그 중에서 유달리 재미를 선사하는 단어가 있다. 물론 이건 좀 심한데 하는 단어들도 분명 있다. 이런 식으로 왜곡되어도 되나 싶은 해석은 조금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면도 있다. 그럼에도 기분 좋게 한번 웃고 지나가는 식으로 생각하면 크게 무리가 없다는 생각을 했다. 이 책 자체가 원래 책의 내용으로 구상한 것이 아니고 저자가 지인들에게 알려주고 싶어 적어 놓은 글을 책으로 펴낸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의 생각이 유머와 위트를 통해 표현된 책이라는 생각을 갖고 보면....
그 중 몇 개를 적어보기로 했다. 사회(society)는 개인들의 이해와 가치관이 충돌하는 공간. 치유될 수 없는 다수의 병원, 진리나 진실보다는 선동 또는 여론으로 좌우되는 집단(사회복지제도) 자시이 지불하여 예치해둔 돈을 되돌려받는 제도 아닌 제도(사회통념).... 옷(clothes)은 볼품없는 인품이나 몸매를 가리기 위한 일상 위장용품, 유명인사가 되려고 할 때 맵시 없게 걸치는 물건 등..... 착각(delusion)는 인생을 사는 이유, 감각의 차질, 제 잘난 멋에 의한 오해... 자서전(autobiography)는 무지하게 자화자찬한 내용을 호화판 표지로 포장한 기록, 악한들의 마지막 쓰레기통라고 한다.
우리가 기존의 사전을 찾아보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특정 단어에 대한 의미가 궁금하다면 사전처럼 찾으면 된다. 불편하면 불편한대로, 유쾌하면 유쾌한대로.... 각자가 느끼는 느낌대로 책을 읽으면 될듯 싶다. 나의 경우는 유쾌하고 즐겁게 읽었기에 한번씩 짜증하고 화날 때 책을 들쳐보며 기분전환을 시도해 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