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교 2013 - 1 - 우리가 가장 아프게 빛나던 시절 ㅣ 학교 2013 1
안재경 지음, 이현주.고정원 극본 / 북하우스 / 2013년 6월
평점 :

언제부터인가 집단 따돌림, 교권 추락, 학업성적으로 인한 자살, 다양한 학교 폭력 등으로 얼룩진 학교의 모습을 대중매체를 통해서 자주 접하게 된다. 솔직히 우리가 학교 다닐때에는 선생님이 무서웠다. 지금으로 보면 정말 아무것도 아닌 작은 잘못을 해도 화를 내시는 선생님도 있으셨고 아이가 선생님에게 부당한 폭력을 당해도 집에서는 선생님에게 따지거나 물어보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고 생각한다. 학교내의 체벌이 금지되고 핸드폰을 누구나 다 가지고 있는 지금은 선생님의 부당한 체벌이나 학교내의 폭력과 소소한 일들이 핸드폰을 통해서 밖으로 유출이 되면서 화제의 중심에 서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개인적으로 TV를 잘보지 않는다. 그나마 TV이를 볼때도 드라마보다는 예능프로 한두개를 골라서 보는 편이다. 드라마를 못 보았지만 시간이 흘러 사람들이 정말 재밌다거나 보라고 권해주는 드라마는 생각이 날때 한번씩 케이블의 다시보기를 통해서 보고 있는데 어느날부터인가 아들이 '학교 2013'를 보기 시작해서 나도 옆에서 같이 보기 시작했다. 학교를 시청하면서 이 작품의 원작소설이 있는지 궁금해졌고 있다면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주인공이라고 느껴졌던 고남순이 스토리의 중심에 있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책을 다 읽고나니 승리고 2학년 2반 학생 전부와 기간제 교사인 정인재 선생님과 강세찬 선생님을 포함 모두가 주인공이란 생각이 들었다. 우리때와는 그 강도가 다르지만 성적으로 인한 고민, 친구와의 사소한 질투와 오해, 보호받고 사랑받아야 할 가정이란 따뜻한 공간을 잃어버린 학생이 밖에서 모든 분풀이를 분출해내는 모습, 아니라고 말하고 싶지만 한순간의 잘못?된 행동으로 가장 친한 친구를 잃어버린채 지내야했던 모습 등등... 지금의 학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예나지금이나 이런 선생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보게 되는 기간제 교사인 정인재 선생님.... 학생을 이해하고 그들의 고통이나 고민까지도 함께하고 싶어하는 선생님의 모습은 자식을 키우는 부모된 입장으로 저런 선생님이 더 많아졌으면 하는 바램까지 가져보게 된다. 나름의 아픔을 가지고 학교로 온 강세찬 선생님에 대해서도 같은 생각이다.
책도 재밌는데 드라마는 얼마나 재밌을지 궁금하다. 책의 스토리를 드라마에서는 얼마나 잘 풀어냈을지 궁금해지기 했다. 드라마에서는 책에서 간단한 에피소드 정도로 살짝 지나갔던 2-2반 학생들의 모습을 어떤 식으로 풀어냈을지 궁금하다.
학교.. 대학을 목표로 한 고등학교란 공간을 잘 풀어낸 것도 좋았지만 대학이 아니어도 다른 목표를 향해 용기를 내어보는 에필로그를 통해 2학년 2반 학생들의 뒷이야기가 계속되어질거란 생각을 갖게 한다.
과거의 시간으로 돌아간다면 학창시절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할때가 있는데.. 그 시간이 나의 인생을 돌아볼때 가장 순수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던 아름다운 시절이란 생각 때문이다. 나의 학창시절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게 한 학교 2013... 불의 여인 정이, 응답하라 1997과 함께 재밌는 드라마소설로 기억될 또 하나의 책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