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는 행복하지 않은 날이 없었다 - 스물아홉, 임신 7개월, 혈액암 판정
이미아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3년 3월
평점 :
나역시도 엄마의 딸이고 남편의 아내이며 아들의 엄마이기에 '엄마는 행복하지 않은 날이 없었다'를 읽는내내 저자 이미아씨의 마음을 충분히 느끼고 공감하였다. 주위를 둘러보면 가족이나 친척중에 암으로 돌아가신 분이 계실 정도로 암은 멀게만 보이는 병이 아니다. 말기암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암도 완치가 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다. 허나 막상 자신이 암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면 정말로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것처럼 눈 앞이 깜깜해질거란 생각이 든다. 더군다나 홀몸도 아닌 태아를 임신한 임산부라면 그 충격은 배를 넘어설 것이다.
'엄마는 행복하지 않은 날이 없었다'의 저자 이미아씨는 말이 없고 무뚝뚝하지만 훨칠한 키에 성실한 남편과 이쁘고 사랑스러운 딸.. 원하는 직장에서 일하며 뱃속에 아이가 생겨 한창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직장이 신문사라 마감에 대한 스트레스도는 어느정도 있었을거라 생각한다. 마감을 마치고 평소와 다른 이상을 느껴 병원을 찾아간 저자는 검사 결과 혈액암이라 진단을 받게 된다. 뱃속의 아이는 이미 7개월... 아이를 포기하고 싶지 않아 착실히 진료에 매달리면서도 혹시모를 불안감을 느꼈을 저자이 모습이 저절로 그려져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사람에게도 가족중 한병이 커다란 병이 걸리면 힘들다. 맞벌이에서 혼자 일하며 가정과 아내의 병원비를 담당해야하는 남편의 어깨의 짊은 크다. 설상가상 전세금까지 올려다라는 상황에 놓인다면... 서로를 바라보는 애틋한 마음이 있지만 때로 이 모든 상황으로 인해 마음에도 없는 말이 나가기 쉽다. 저자네 부부도 그로인해 싸움도 하고 화해도 하며 더욱 사랑이 견고해져 간다.
일개월 빠르지만 무사히 아이도 낳고 골수이식을 통해 다시 직장에 복귀해서 자신의 담당의가 아닌 일로써 만나 이야기를 들을 정도로 저자가 힘든 병을 이겨냈다는데 박수를 보내고 싶다. 그녀가 병에 지지 않도록 곁에서 도와준 시어머니, 친정어머니에 대한 크나큰 사랑을 읽으면서 나의 엄마를 떠올려 보기도 했다.
저자는 자신이 놓인 상황에서 용기가 필요할 때 한시를 읽었다. 저자가 들려주는 한 시도 작자의 대한 짧은 이야기를 통해 내가 모르는 분들을 알게 되었다. 어려운 병을 이겨내고 다시 일어선 저자에게 행복한 일들만 생겨나기를 바란다. 그녀에게 소중한 현진이, 현준이, 그리고 든든한 남편과 함께 지금처럼 행복하고 즐거운 가정으로 오래도록 남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