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
데이비드 화이트하우스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한 가족을 지탱해 주는 원동력은 무엇일까? 각자의 가정마다 사정은 다 다를 것이다. 데이비드 화이트하우스의 신작소설 '침대'에서는 저자의 데뷔작이라고 믿겨지지 않을 만큼 삶에 대한 깊은 생각을 갖게 하는 힘이 느껴지는 책이다. 나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평범한 삶을 포기한 한 남자와 그를 둘러싼 가족들의 이야기... 진정한 가족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어준 작품이다. 

 

스물다섯 살이면 한창 인생에서 황금기라고 할 정도로 빛나는 시기다. 맬컴 에드는 자신의 스물다섯 살 생일날을 기점으로 침대에서 나오지 않으려고 한다. 그가 이런 행동을 결심하게 된 동기가 살짝 어이없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삶에 휩쓸려 살아왔던 나에게는 신선하게 느껴지는 면이 있었다. 어릴적부터 맬컴이 보여주는 기이한 행동들은 참으로 다양했다. 다른 어떤 것보다 맬컴 가족이 부담스럽게 생각했던 것은 공공장소에서 순식간에 옷을 벗고 나체를 들어내는 그의 모습이다. 이런 아들의 모습에도 여전히 어머니의 지극한 사랑은 열려 있다.

 

이야기의 화자는 이름은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 '나'나 맬컴 에드의 동생으로만 불리우는 인물이다. 나란 존재는 어린 시절에 첫 눈에 반해버린 '루'란 여인에 대한 마음을 오래도록 간직하며 살아간다. 루는 기이한 행동을 벌이지만 타인의 눈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특한 세상에 빠져 사는 그의 형 맬컴 에드에게 반한 여인이다. 루로 인해 어머니는 사랑하는 아들 맬컴이 자신의 손을 떠나는 경험을 하게 되고 나는 그런 형과 루의 모습을 지켜볼 수 밖에 없어 상처를 받는다.

 

세상에 침대에서 그렇게 오랜 시간을 보냈으면서도 맬컴 에드는 전혀 주눅들지 않고 가족과 세상에 당당하다. 몸무게가 무려 630kg이 넘어 혼자서는 움직이기도 힘들 상태인데도 어머니의 보살핌을 당당히 생각하고 아버지가 다락방으로 쫓겨나 생활하는 것에도 미안한 마음이 전혀 없다. 여기에 자신과 한방 한침대에서 생활한 동생에게도....

 

맬컴에 맞춰진 생활을 살아가는 가족들의 모습은 어찌보면 답답한 면이 분명 있다. 자식에 대한 사랑이라고 표현하기엔 어머니의 행동은 어머니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행동들을 답습할뿐이란 생각도 든다. 그래서 루가 나타났을때 맬컴의 어머니는 긴장했을 수도 있겠다는 느낌도 받았고 아버지는 어머니의 이런 모습에 갈등을 겪다가 결국 포기하고 만다. 맬컴의 동생인 나는 형에 대한 부모님의 사랑을 옆에서 부러움반 서운한 마음반 등 복잡한 심정으로 오직 루란 여인에 대한 생각만을 가지고 나름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이다. 이런 그에게 한줄기 희망이 보이는데....

 

몸이 힘들거나 조용히 책을 읽고 싶을때는 초저녁부터 침대 속으로 들어가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한다. 책상이나 쇼파에서 느껴지지 않는 편안함이 침대에 있기에 침대에 있는 시간을 즐기는 편인데.. 맬컴를 통해 자신이 평범한 인생을 사는 다른 사람과 다른 삶을 살기 위한 투쟁의 장소로 쓰였다는게 의외였다.

 

타인보다 가족에게 더 상처받고 상처를 준다고 한다. 나란 존재는 형으로 인해 망가진 가족의 모습을 보았다고 느꼈지만 형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다르다. 침대를 통해서 인생에서 가족, 사랑, 삶이 어떤 모습을 가져야하는지 진정한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 만들어 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