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채식하면 우선 몸에 좋다는 인식이 강하다. 나역시도 살도 빼고 싶고 건강을 위해서 채식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종종하지만 한번씩 미치도록 고기가 땡겨 아직까지 채식을 해 본적이 없다. 헌데 '채식의 배신'을 읽으면서 채식을 실행에 옮기지 않은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느끼게 되었고 우리가 알고 있던 채식의 좋은점은 거의 없고 오히려 우리의 몸을 망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에 놀라웠다.

 

저자 리어 키스는 단지 채식이 우리몸에 끼치는 나쁜 점만을 이야기 한 것이 아니다. 인류 역사를 통털어 채식을 행했던 인류와 고기를 함께 섭취했던 인류의 건강 차이는 물론이고 우리가 알고 있는 채식이란 것이 따지고 보면 완전한 채식일 수 없다는 것이다. 땅이 가지고 있는 근본부터 살펴보면 미세한 미생물부터 동물성 영양분을 섭취하고 있으며 인간도 죽어 땅에 묵히면 식물에게 영양분을 제공하는 존재이기에 완전한 채식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특히 순수 단백질이라는 칭송을 받고 있고 바다의 고기로 다이어트나 건강상의 이유로 식이요법을 하는 사람들이 꼭 챙겨 먹는 '콩'이 알고보면 얼마나 위험한 식물인지 꼼꼼히 알려주고 있다. 읽는내내 그럼 앞으로 콩 섭취를 많이 줄여야 한다는 생각도 했으며 콩에 많이 함유된 에스트로겐 성분으로 인해 유방암과 갑성성 질환에 대한 위험성을 알게 되었다.

 

저자 자신이 오래도록 채식을 몸소 체험한 사람이라 더 신빙성이 느껴지는 책이였다. 채식을 20년이나 한 사람이 갑자기 채식을 포기하게 만든 이유는 무엇인지... 단순히 호기심을 가지고 읽기 시작했다가 채식의 위험성과 지구상에서 많은 식물 얻기 위해 나라, 대기업으로 벌이고 있는 일로 인해 많은 땅이 비료나 화학제품으로 인해 얼마나 황폐해졌는지 알려준다. 여기에 저자 자신도 채식을 시작하고 바로 여자들이 매달하는 '매직'을 끊기는 현상을 경험 했으며 오래도록 채식을 하면 관절이 안 좋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우울증을 비롯해서 여러가지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한다.

 

인간도 자연의 일부란 생각을 가지고 생활해야한다. 인간이 최상층의 포식자지만 죽으면 다시 땅으로 돌아간다. 자연으로 돌아간 인간도 비료로 사용되며 이런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더불어 살짝 놀라기도 했고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은 사람모양의 나무가 있다는 글이였다.

 

무엇보다 지구를 살리기 위해 단순히 수치로만 파악되는 표가 아니라 인류가 채식만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땅을 병들게 한다는 것과 탄수화물 과다 섭취로 인한 각종 병에 걸리기 쉽고 무엇보다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인구증가가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강조한다. 포화상태를 넘어 더 이상 지구상에 인구가 증가한다면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그 위험성은 실로 심각한 수준을 넘어섰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에는 채식에 대한 위험성이 무엇인지 궁금한 면이 있었다. 허나 책을 읽다보면 채식을 선택하고 안하고의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지구란 공간에서 같이 생활하는 동식물과 함께 하는 존재라는 인식을 가지게 된다. 채식을 바라보는 확대된 시각을 가지게 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으로 채식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몸을 건강하게 하는게 무엇인지 다시한번 꼼꼼히 따져보고 생활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