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흔들리되 부러지지는 않기를 - 인문학 카페에서 읽는 16통의 편지
노진서 지음 / 이담북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부터 무척 마음에 든다. 마흔하면 중년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운다. 학창시절에는 하루빨리 어른이라는 말을 듣고 싶었다. 허나 나이가 먹고 중년이라는 마흔을 넘어서면서부터는 자꾸만 시간이 너무 빨리 흘러가는게 아닌가? 지나온 시간을 돌아볼 때는 아쉬움과 앞으로 다가올 미래는 살짝 두렵게만 느껴진다.

 

'마흔, 흔들리되 부러지지는 않기를' 책의 제목에 공감을 하게 된다. 심지가 굳어 자신을 바로 잡고 살아갈 수 있다면 그야말로 좋겠지만 인생을 살다보니 흔들리는 경우가 설령 있다고해도 부러지면 안되는 나이가 마흔이다. 인생이 100년이란 시간을 놓고 볼 때 마흔이면 아직 절반에도 이르지 못한 시기인데 우리 사회에서는 어느새 서서히 은퇴를 생각해야 할 정도로 위기감을 갖게 하는 나이다.

 

한 남자가 지하철 안에서 잠이 든다. 지루한 일상을 시작될거란 생각과는 달리 낯선 존재에 의해서 생각지도 못한 16개의 문을 통과해야만 한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16개의 문은 어떤 문이기에... 남자는 무사히 모든 문을 통과해서 다시 예전의 모습이 아닌 새로운 인생을 시작할 수 있을지 궁금증을 안고 읽기 시작했다.

 

16개의 문 안에서 만나는 이야기는 내가 살아 온 인생에서 한번쯤 경험했거나 고민했을 이야기들이다. 각각의 이야기에 맞게 소설, 철학, 그림 등 책에 쓰여진 이야기의 줄거리를 들려주고 그 이야기가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알려준다. 또 역사적 인물과 그에 관련된 이야기, 저자의 생각과 알고 있는 이야기, 시를 통해 들려주는 인문학 이야기가 불편하거나 부담스럽지 않다. 살면서 잊고서 지나친 과거의 나를 돌아보고 지금은 왜 그런 고민을 덜하고 살고 있는지 돌아보게 되고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살아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새로운 문을 시작하기 전에 투박한 그림으로 문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간단히 알려준다. 더불어 해당 이야기에 맞는 노래에 대한 가사를 적혀 있어 나도 모르게 아는 노래는 따라 부르게 되고 낭만적인 추억에 빠지게 했다. 첫번째 문부터 자신의 어린시절의 모습과 만나는 남자의 여정은 마지막에 어쩔 수 없이 고민하게 되는 노후, 죽음과 직면하면서 끝이나지만 무사히 16개의 문을 통과한다. 자신의 어린시절부터 청년, 중년, 노후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지금처럼 지루한 일상이 아닌 좀 더 다른 모습의 인생을 살거란 생각이 들었다.

 

한마디로 멋진 책이다. 인문학 카페에서 들려주는 16통의 편지는 어느 편지 하나 소홀히 넘겨서는 안되는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인생, 삶에 대한 생각이 깊어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읽으면서 충분히 좋다는 느낌을 받을 거란 생각이 든다. 인문학자가 들려주는 인문학이 주는 재미가 무엇인지 다시한번 느끼게 해 주는 책으로 생각날 때마다 한번씩 다시 꺼내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