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문 ㅣ Medusa Collection 1
토머스 H. 쿡 지음, 김시현 옮김 / 시작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붉은 낙엽을 보고 매료 된 작가 '토머스 H. 쿡'의 책을 도서관에 갔다가 찾아 보았다. 붉은 낙엽을 너무나 재밌게 읽었기에 저자의 이름이 쓰여진 '심문'을 집자마자 기대부터 하고서 읽었다. 솔직히 기대했던 만큼 재밌지 않다. 사람들의 내면에 존재하는 심리묘사에 탁월한 감각을 보여주었던 붉은 낙엽과는 달리 심문에서는 전체적으로 짙게 깔려 있는 느와루 느낌은 좋았지만 오래도록 집중하게 만드는 힘이 살짝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여덟살의 한 소녀가 공원에서 잔인하게 살해를 당한다. 경찰은 범인으로 부랑자인 한 남자 '스몰스'를 사건 현장 부근에서 체포한다. 그는 자신이 결코 어린 소녀를 죽이지 않았다고 말을 하지만 그에게 12시간 안에 빨리 자백을 받아내야한다. 그가 범인이라고 짐작하게 만든 결정적 이유는 그가 그린 그림 때문이다. 부랑자 스몰스가 살고 있는 장소와 사건현장 부근에서 똑같은 그림을 그린 그를 범인으로 지목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르겠지만 확실한 증거가 나타나지 않자 스몰스를 그냥 풀어줘야 할까봐 경찰들은 스몰스를 압박하지만 여전히 자신은 소녀를 죽이지 않았다며 강하게 부인하는 스몰스... 그의 말은 사실일까? 아님 교묘한 속임수일까?
범인으로 지목된 남자와 경찰간의 심문으로 이루어진 이야기가 책의 전반적인 흐름을 좌우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경찰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의 아픔이 감추어져 있다. 자신 역시도 아동 살해범에 의해 어린딸을 잃은 경찰관이나 범인으로 지목된 남자처럼 부랑아로 살아가는 아들을 둔 경찰관... 이들은 스몰스를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아픔을 다시 확인하게 되고 그래서 더더욱 스몰스를 범인이란 생각을 가지고 몰아 붙이게 된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다고하지만 여전히 범인에 대한 확실한 물증없이 우선 범인이라고 생각되는 인물을 잡아 놓고 사건의 진실 공방에 대한 심리전을 통해서 범인을 잡아내는 경우도 있지만 전혀 범인이 아닌 사람도 한번의 실수로 인해 범인일거란 의심을 받기도 한다. 심문에 참여하는 경찰관들과 범인으로 지목된 남자... 이들이 만들어 가는 긴장감 넘치는 취조 과정이 이야기를 끌고가는 힘이라 여겨지면서도 반전이 존재하는 결말 부분은 물론이고 다소 약하다는 느낌이 들면서도 나름 재밌게 읽었다.
아직은 저자의 작품이 많이 소개되지 못했는데 붉은 낙엽에서 느꼈던 순수문학이라고 표현해도 좋을 심리스릴러의 진수를 보여줄 작품을 만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