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자의 공간 - 남자는 가끔 행복한 혼자를 꿈꾼다
이문희.박정민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내가 자랄때는 남자들은 왠만한 일에는 눈물을 보여서는 안된다고 어른들의 하시는 말씀을 듣고서 자랐다. 그런 말을 듣고서 자란 세대들이 이제는 중년이 되었다. 예전과 달리 평생 직장이란 말이 없어진지가 한참 되었고 능력 있고 유능한 후배들과 일에 알게모르게 스트레스 역시 많이 받고 있다. 오직 가족을 위해 쉽게 직장을 나올수도 그렇다고 가족에게 자신의 힘든 상황을 이해시키는 이야기도 쉽게 꺼내지 못하고 혼자서 모든 책임을 짊어지고 사는데에 익숙해져 있다. 몸과 정신에 쌓이는 고충이 심해질수록 어느순간 나는 무엇인가? 왜 이러고 살지? 하는 등의 한탄과 외로움이 한꺼번에 몰려오게 된다. 여자처럼 드라마를 보거나 취미생활, 친한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통해서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기회가 적기에 남자들이 술자리를 통해 그나마 스트레스를 푸는 경우가 많지만 어느순간 점점 더 외로움에 시달리고 삶에 대한 회의마저도 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여자인 나도 한번씩 외롭다는 생각을 한다. 모든 사람들은 결국 외로운 존재라지만 가족을 위해 앞만 보고 살았던 남자들은 점점 더 자식에게서 멀어지고 아내는 남편을 귀찮은 존재로 여기고 가족에게 자신의 존재는 무엇인지... 책을 읽는내내 남자들의 고충은 어느정도 알고 있으면서도 나를 먼저 생각하는 습관에 젖어 있어 자연스럽게 남편의 외로움과 고독감에 대해서 미처 생각해 보지 못한 것을 반성하게 되었다.
책에는 남자들이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 다양한 사례들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많은 부분이 공감이 되고 남자들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자신은 완벽하지 못했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완벽함을 요구하는 아버지로 인해 받았던 스트레스는 결국 자기 자식에게 똑같은 행동을 하고 있거나 직장을 어쩔 수 없이 나오게 되고 생계를 위해 치킨집을 열었지만 돈에 쪼들려 아내의 도움을 필요로 했지만 여태 어머니를 돌보던 것에서 이제 벗어나 다른 여자들처럼 취미생활도 갖고 즐거움을 찾고 싶은데 부부가 서로에게 서운한 감정이 쌓여 금기하는 이혼까지 생각하게 되고 상담을 통해 서로의 마음을 들었다. 아버지와 어머니로 인해 고통을 받은 남자는 자신의 어머니의 모습을 아내에게 보게 되는 것이 너무나 싫어 가족에게 점점 멀어졌는데 상담을 통해 전해들은 떨리는 목소리의 아내의 음성에서 나오는 이야기는 누나에게는 끔찍이도 잘하면서 자식과 아내가 있는 가정에는 소홀한 남편에게 갖게 된 서운한 감정 등의 다양한 상담 사례는 바로 나 자신의 이야기 갖고 우리 주변에서 흔히 듣게 되는 이야기들이다.
사람은 변한다. 허나 자신의 삶의 방식이 굳어진 사람들은 변화기가 쉽지 않다. 중년의 남성들 역시 쉽지 않은데 이럴때 변화하기 위해서 자신의 과거를 들여다 보고 현재의 모습과 미래의 변화된 나를 위해서는 자신만의 공간 '골방'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하게 된다. 골방에서 자신의 마음을 치유하고 토닥거릴 심적으로 회복할 시간을 보낼 골방의 중요성이...
정신없이 달려와 문득 멈춰 서 보니 남은 건 외로움뿐,
그 어디에도 편히 마음 둘 곳이 없다.
걸어온 길과 가야 할 길에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면
지금 당장 멈춰 서서 골방으로 들어가라.
그리고 그곳에서 잃어버린 '나'를 만나자.
- p 274 -
몇달 전에 나의 옆지기도 직장에서의 고충 때문에 한창 예민했던 적이 있었다. 순간적인 감정이지만 직장을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까지도 했을 정도로 스트레스가 심해 소화가 안되어 병원을 다니기도 했다. 생전 이런 말을 꺼낸적이 없다가 갑자기 감정을 토로하기에 순간적으로 놀랐었다. 며칠이 지나면서 차츰 원래의 생활 리듬을 찾아갔지만 여전히 마음속에는 그 때의 감정이 해소되지는 않았을거란 생각을 한다. 이제라도 남편만의 작은 공간을 만들어 주고 싶다.
남자들의 공간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라 남성들이 읽으면 좋겠지만 남성들의 외로움과 고독감을 이해하기 위해 여자들이 먼저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