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의 배회자 우먼스 머더 클럽
제임스 패터슨 지음, 이영아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우먼스 머더 클럽을 읽다보니 자연스럽게 미드로 만들어졌다는 드라마의 장면들이 연상이 된다. 짧은 단락이 하나의 이야기로 끌고 가기에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며 분명 '우먼스 머더 클럽'에서 신디란 기자, 흑인인 검시관 클레어, 전 편에 나오며 새로이 합류한 유키 변호사, 그리고 강력계 부서장으로 사실상 주인공이고 사건 해결을 도맡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되는 린지 박서란 네 명의 여성이 만들어내는 끈끈한 친밀도와 정을 바탕으로 사건을 해결을 이끌고 있다. 

 

'한밤의 배회자'에서도 두 개의 사건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갑자기 쓰러진 유키의 어머니가 입원하게 된 샌프란시스코 시립병원에서 전혀 죽음과는 무관해 보이는 환자들이 계속적으로 죽는다. 이 사건은 결국 법정으로 가게 되어 의사와 병원에 의해 발생한 과실인지를 규명하는 이야기와 아직은 젊고 어리다는 표현이 맞을 아가씨들이 비싼 차에 세련된 옷차림으로 죽어 있는 사건이다.

 

시립병원에서 죽어간 환자들의 눈동자 위에 카두케우스 문양이 새겨진 동전이 올려져 있었다는 사실로 인해 고의적인 살인이란 생각이 강하게 들면서 죽어간 환자들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던 의심스런 인물로 비쳐지는 담당의사다. 유키 변호사 역시 퇴원을 앞두고 있던 어머니가 갑작스럽게 죽음을 맞게 되자 커다란 충격에 휩싸이고 담당의사와 병원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강한 의심과 함께 분노에 휩싸이게 된다.

 

죽은 아가씨들의 신원을 밝혀내는 과정에서 그녀들의 직업과 피해자들의 몸에서 풍기는 향수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범인에게 바싹 다가가게 된다. 솔직히 이 작품은 실망스런 면이 많았다. 병원에서 일어나는 살인 역시 한번쯤 예상하는 인물이 결국 범인으로 밝혀지며 생명에 대한 존엄성을 무시하는 의사가 내뱉는 말은 우리나라에서도 끊이지 않고 일어나는 의료사고에 대한 의사들의 생각을 살짝 엿본거 같아 불편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전편에 비해서 네 명의 여성들이 골고루 분량을 할애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야기는 다소 산만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긴장감이나 흡입력 면에서도 전편에 비해 다소 떨어진다는 생각도 살짝 들었고 범인이 너무 맥없이 잡혀 스릴러 소설이 가지고 있는 예상치 못한 반전 역시 없다.

 

하나의 이야기를 좀 더 심도있게 이끌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살짝 해보며 '우먼스 머더 클럽' 시리즈는 네 명의 여성이 계속적으로 스토리를 이끌어 가는 이야기라 다른 이야기도 이와 비슷할지 이 편에서는 이 시리즈에 대한 평가는 한 발 물러서서 다음에 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