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하위징아
빌렘 오터스페어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사람의 인생을 담은 평전을 제대로 읽어보자는 것이 올 해의 나의 목표 중 하나다. 허나 매번 평전을 읽으면서 느끼는 감정은 결코 쉽게 느껴지지 않는다는데 있으며 여태까지 한번도 평전을 쉽게 읽어 본 적이 없다. '요한 하위징아'는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역사가, 사상가이자 문화사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이다. 요한 하위징아의 최고의 작품이라는 평을 받고 있는 '중세의 가을'은 프랑스와 그의 조국 네덜란드의 생활과 사상을 담은 책으로 요한 하위징아에게 명성 안겨준 책이다.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생활과 사상을 밝힌《중세의 가을》(1919)로
[출처] 하위징아 | 두산백과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생활과 사상을 밝힌《중세의 가을》(1919)로
[출처] 하위징아 | 두산백과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생활과 사상을 밝힌《중세의 가을》(1919)로
[출처] 하위징아 | 두산백과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생활과 사상을 밝힌《중세의 가을》(1919)로
[출처] 하위징아 | 두산백과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생활과 사상을 밝힌《중세의 가을》(1919)로
[출처] 하위징아 | 두산백과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생활과 사상을 밝힌《중세의 가을》(
[출처] 하위징아 | 두산백과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생활과 사상을 밝힌《중세의 가을》(
[출처] 하위징아 | 두산백과

저자 빌렘 오터스페어는 서문에서도 밝혔듯이 글을 읽는 방법을 요한 하위징아를 통해서라고 한다. 대학에서 하위징아에 대한 강의를 하면서 그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면서 자연스럽게 하우징아에 대한 평전까지 쓰게 되었다.

 

요한 하위징아란 인물에 대한 탐구로부터 이야기는 시작한다. 1872년에 네덜란드의 북부 지방 도시에서 태어난 하위징아는 아버지와 그의 조부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종교에 몸 담고 있어 금욕생활은 물론이고 종교적이고 바른 생활을 한 할아버지와 그런 자신의 아버지의 틀에서 벗어난 생활로 평생 매독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살았으며 생리학 교수였던 아버지다. 할아버지와 아버지 모두 진실에 대한 탐구를 끊임없이 한 인물들로 서로가 가지고 있는 상반된 진실 탐구는 하위징아의 사고방식에 평생동안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책 속에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는 그가 쓴 작품들에 대한 이야기이며 그 중에서도 중세의 가을'이란 책이다. 중세의 사랑에 빠졌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새것보다는 옛것 그중에서도 12세기 중세를 사랑했다. 대조를 통해 옛것과 새것에 대한 정체성을 탐구하고 재해석한다. 저자는 요한 하위징아의 다른 책보다 중세의 가을을 분석해서 그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예시를 들어 이야기를 끌어가지만 솔직히 잘 모르는 이야기들이 대부분이라 무슨 이야기인지 어렵게 느껴지고 살짝 지루한 면도 있었다. 내가 흥미를 느꼈던 부분이기도하고 '중세의 가을'에 나왔다는 마쇼의 러브스토리는 상당부분 하위징아 자신이 첫째부인이 죽은 후 오랜 시간이 흘러 나이차가 상당히 나는 둘째 연인을 만나 사랑을 담은 이야기가 책에 나온 이야기와 많이 닮아 있었으며 그래서 더 하위징아가 스토리의 진실을 강조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요한 하위징아의 인생에 대한 평론을 담은 책이라기 보다는 하위징아의 작품에 대한 분석으로 이루어진 책이라 내가 생각했던 평론과 달랐다. 대조와 조화를 통해 가장 훌륭한 글쓰기를 완성한 요한 하위징아.... 위대한 역사가이자 사상가인 하위징아의 글쓰기와 생각, 삶의 자세 등을 바라볼 수 있었으며 그의 가장 위대한 작품으로 꼽히고 있는 대립적 글쓰기의 가장 좋은 사례로 꼽았던 '중세의 가을'과  놀이의 개념을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 한 '호모 루덴스'는 찾아서 시간나는대로 읽어 볼 생각이다. 미리 두 권의 책을 읽고 난 이후에 이 책을 읽기를 권했더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요한 하위징아란 인물에 대해 그의 작품에 대해 조금은 이해할 수 있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