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서 찾는 지도자의 자격
김경록 외 지음, 한성환 엮음 / 꿈결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음달 19일이면 우리나라의 최고 지도자를 뽑는 날이다. 안철수, 문재인 대통령후보의 극적인 단일화도 이루어졌고 박근혜, 문재인 두 후보로 좁혀져 있는 마당에 이제는 진짜 국민과 나라를 염두해 두고 정치를 펼칠 수 있는 사람을 뽑아야하는데 이런 시점에 여기저기서 쏟아지고 있는 대통령의 자질에 대한 이야기... 앞으로의 5년을 이끌어 갈 너무나 중요한 변화가 필요한 현시점에서 가장 요구되는 지도자의 뛰어난 리더십이다. . 

 

 '역사에서 찾는 지도자의 자격' 책 속에 나온 위대한 지도자들은 하나같이 뛰어난 리더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분들이시다. 그들이 살았던 시대, 정치상황 등을 들여다 보면서 지도자로서 국민과 나라를 생각하고 행동했던 일들에 새삼 존경스럽게 다가왔으며 뛰어난 리더십이 무엇인지 역사속 인물을 통해서 우리가 지금 필요로 하는 리더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 했다.

 

특정 인물에 유달리 끌리는데 최초의 여성 지도자인 선덕여왕... 드라마왕국 대한민국에서 한동안 안방극장을 휘어 잡았던 연속극 '선덕여왕' 드라마의 재미와 흥미를 위해서 유달리 강조되었던 미실이란 인물은 결코 선덕여왕과 한 어깨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시간차가 있는 사람이다. 선덕여왕이 왕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신라의 진골, 성골이란 신분제도인 골품제와 아버지 진평왕의 영향이 가장 크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책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지도자로서의 덕목 역시도 최고라는 평가가 전혀 아깝지 않은 세종대왕... 위인으로서의 세종대왕에 대한 이야기만 듣고 자란 나로서는 세종대왕님이 고자질쟁이란 말에 사실 좀 놀랐다. 뚱뚱하고 고자질쟁이에 왕따의 조건을 갖춘 충년대군인 세종대왕님이 위대한 지도자가 될 수 있었던 세가지 조건은 세종대왕님을 위대한 지도자로 변화할 수 있었던 역활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책, 운동을 좋아했고 음악에 조예가 깊었다고 한다. 책이란 스승을 통해서 견문을 넓혔고 운동과 무예를 통해서 어느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문과 무를 똑같이 중요하게 여겼으며 음악을 통해서 정서적 감화를 이루어 내었다. 그래서 우리가 존경하는 세종대왕님이 탄생할 수 있었던 기반이 되었다. 무엇보다 제자들과 자유로운 토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소통의 리더십이 커다란 힘을 발휘했으며 결코 화를 내지 않으시는 모습과 슬기롭게 신화들을 다루시는 모습, 노비들에게 출산 휴가를 감행할 만큼 앞선 생각을 하였으며 설령 자신과 의견이 안맞는 신화의 의견에도 슬기롭게 대처하시고 소통과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막강한 권력과 돈을 함부로 마음대로 사용하지 않는 자세와 뛰어난 두뇌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지식경영의 능력이 뛰어났던 지도자로서 아~ 지도자란 저런 생각과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구나 싶은 생각이 저절로 들게 했다.

 

또 영조란 인물의 대한 평가가 사실 엇갈리고 있고 나역시도 드라마의 영향도 있고 책을 통해 만나는 영조란 인물을 크게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역시도 뛰어난 지도자였음에는 틀림없다. 노론, 소론, 당파간의 싸움과 그들의 지지기반에 따른 영향때문에 아들을 죽음으로 내 몰 수 밖에 없었지만 끝까지 손자만에게는 왕위를 물러줄 정도로 치밀하기도 했다. 정조임금은 어린 나이에 아버지의 죽음을 직접 눈으로 목격한 인물이다. 왕위에 오르면서 사도세자의 아들이라는 말부터 꺼냈던 정조임금에게 노론의 신화들이 느꼈을 불안감은 높았다. 조선왕조 500년을 통털어 왕을 시해하려는 사건이 처음으로 발생하기도 했을 정도다. 자신에게 엄격했던 만큼 신화들에게도 엄격했던 정조임금은 여러가지 면에서 모든 권력이 자신에게 집중되어 로마의 사회개혁을 감행하고 결국 왕의 자리까지 넘보려는 인물로 의심받아 암살된 '카이사르'와 신도시를 꿈꾸었던 '노무현 대통령'과 비교되어 이야기 하는 부분이 재밌었다.

 

역사 속 인물들은 하나같이 뛰어난 지도자의 자질을 가지고 있다. 그들이 보여주는 리더십을 통해 앞으로 우리를 이끌어 갈 지도자의 모습을 상상해 보게 된다. 무엇보다 소통을 최우선으로 하는 지도자가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지난 5년 동안 소통한다고 했지만 정작 자기들만의 소통만 이루어낸 대통령이 아닌 국민과 나라를 위한 열린 생각과 마음을 가지고 있는 소통의 리더를 뽑고 싶고 이번에는 그런 분이 되셨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자신을 희생하고 민족과 국가의 이익을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진정한 지도자를 알아보고 그에 맞는 대통령을 뽑아야 한다는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국민들이 진정 원하는 지도자는 누구인지 대선을 앞 둔 두 분이 꼭 생각해 주셨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