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마처럼 비웃는 것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35
미쓰다 신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1년 8월
평점 :
미쓰다 신조의 소설은 한마디로 내가 전혀 범인이 누구인지 짐작하기도 어렵고 왜 그런 범죄를 저질렸는지 상상조차 할 수 없게 만드는 작가다. 추리소설을 좋아하면서도 그의 작품을 많이 접하지 못하다가 얼마전에 읽은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을 통해 기괴담을 수집하는 방랑 작가 도조 겐야와 처음으로 만났고 '산마처럼 비웃는 것'을 통해서 도조 겐야의 활약을 본격적으로 만날 수 있어 재밌게 읽었다.
책의 처음부분을 상당량 할애하고 있는 이야기는 학교 선생님으로 살아가는 남자가 '성인 참배'를 위해서 다시 고향을 찾으면서 시작한다. 산마가 산다는 부름산과 오래전부터 사람들 입을 통해서 전해져 온 동요 '고오도의, 구마도의, 여섯 시장' 에 대한 이야기는 사실 추리소설은 늦은 밤 방에 이불 뒤집어 쓰고 혼자 있는 재미를 즐기는 나로서는 자꾸만 머리가 쭈빗쭈빗 서는 기분을 느끼게 해주는 내용이였다.
우리나라와 달리 책에 나온 사람들의 이름이 자꾸만 헷갈려서 혼났다. 책을 읽다보면 몇몇 특정인의 이름은 쉽게 기억이 되는데 헷갈리는 이름들 때문에 자꾸만 앞장을 넘겨야 하는 경우도 있었고 마지막에 사건 해결과 반전의 묘미를 잔뜩 느끼게 해주는 도조 겐야의 사건 추리에 나온 이름들 역시 처음부분을 몇번 들쳐보게 했다.
도조 겐야는 출판사에서 받은 원고에 흥미를 느껴 자신이 작은 늦가을에 알게 된 깊숙하고 외진 곳에 위치한 히메카미 촌을 방문한 일이 있어 그곳에서 알게 된 가지토리 가의 리키히라씨를 찾아가 그곳에서 떠도는 부름산의 산마, 산녀 기괴담을 듣게 되고 그런 와중에 우연히 일가가 사라진 완벽한 밀실이 되어 있는 집에서 발생된 손생된 시체를 발견한다.
이 후 연달아 발생하는 살인사건이 동요 속 여섯 지장을 상징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왜 마을에 전해져 오는 동요를 연상하게 만들었는지 사건을 파헤쳐 나가는 도조 겐야의 활약이 발휘된다. 허나 전에 읽은 책에서도 살짝 느꼈지만 조금은 빠른 전개가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과 도조 겐야가 사건의 본질을 알면서도 빙빙 돌려 사건의 범인을 이야기는 하는 대목에서 명확하고 확실하게 말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부름산을 중심으로 한 세 가문의 사람들과 여섯 개의 굴, 동요 속 여섯 지장의 사당, 극단 사람들, 또 복잡하게 사람들이 서로 얽히고 섥힌 관계 역시 스토리에 몰입하는데 조금은 방해가 되는 부분들이 있었다. 저자 미쓰다 신조는 도조 겐야를 통해서지만 반전의 묘미를 확실히 느끼게 해준다. 모든 진실이 밝혀졌다고 생각했지만 다시한번 있는 반전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재미를 선사한다.
호러 미스터리 소설이 주는 재미를 충분히 느끼며 읽은 '산마처럼 비웃는 것' 이제 얼마전에 출간 된 '영매처럼 신들린다는 것'을 통해서 도조 겐야란 인물의 서막을 열게 한 작품이라는데 빨리 읽어보고 싶으며 '산마처럼 비웃는 것'의 다음편인 '미즈치처럼 가라앉는 것' 역시 곧 있으면 나올 예정이라고하는데 이 작품 역시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