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인간적인 인간
브라이언 크리스찬 지음, 최호영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가장 인간적인 인간'은 어떤 인간일까? 가만히 돌이켜보면 나 자신이 어떤 인간인지 제대로 생각해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그냥 인간으로 태어나서 당연히 생각하고 행동한 모든 것이 인간적인 측면에 속한다고 생각했지 깊이 있는 생각을 해보지 못하다가 저자 브라이언 크리스찬의 '가장 인간적인 인간'을 통해서 나 자신을 돌아보고 인간적인 인간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사실 이 책은 인문학 서적 중에서도 조금은 어렵고 힘들다는 생각이 읽는내내 들었다. 저자 브라이언 크리스찬을 통해 인간과 컴퓨터가 벌이는 대결을 통해서 가장 인간적인 인간이 누구인지 선발하는 대회가 있다는 자체도 처음 알았다. 저자 자신은 인간 연합군의 일원으로 이 대회에 참가하였으며 가장 인간적인 컴퓨터와 가장 인간적인 인간을 뽑는데 여기서 그가 가장 인간적인 인간으로 뽑혔다. 컴퓨터를 상대로 인간적인 인간을 가려내는 취지로 만들어진 대회에서 인간이 뽑히는 것은 당연한거라 말할 수도 있겠지만 심사위원들이 컴퓨터와 인간이 누구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대화를 통해 가려낸다면 슈퍼컴퓨터를 이긴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닐거란 생각도 들었다. 심사위원들이 던진 질문에 인간과 컴퓨터의 대답을 구분해내지 못한다는 것으로 컴퓨터는 인간처럼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이 되고 그럼 컴퓨터가 승리를 거두는 것이다.
저자는 매년 열리는 뢰브너 프라이즈 대회의 종전 기록을 통해서 두가지 유형을 심사위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낸다. 하나는 잡담을 즐기는 유형이고 다른 하나는 대회 참가자가 정신을 차리기 힘들 정도로 단어문제, 공간추론 문제, 의도적으로 잘못 쓴 철자 등으로 대회 상대를 혼란에 빠트린다. 이런 질문들에 대한 즉각적인 대답을 대회에 참가한 로봇이 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sf영화에서 보면 완벽한 인간의 모습을 갖춘 로봇들을 흔히 보게 된다. 대부분이 슈퍼컴퓨터에 의해 조정되는 로봇이지만 이들을 조정하는 슈퍼컴퓨터는 인간처럼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한다. 지나친 과학의 발전으로 가까운 미래에는 이런 슈퍼컴퓨터들이 등장하고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하는 불안 섞인 우려도 가지게 된다.
총 6개의 챕터(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리스토 텔레스, 플라톤 같은 유명한 철학자 말고도 터미네이터, 매트릭스 같은 영화 이야기 드라마, 추리소설, TV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작품들 속 주제를 통해서 인간관계, 삶, 인간적인 인간은 어떤 인간인지 알려주고 있다.
브라이언 크리스찬은 튜링 테스트에서 만약 인간이 아닌 컴퓨터가 진짜 금메달을 획득한다면... 또 인간이 계속적으로 승리를 거머쥘 수 있다면... 어떤 결과를 낳더라도 그는 늘 이 뢰브너 프라이즈 대회와 함께 할거라 말한다.
만약 당신이 과거에도 비익명적인 존재로 살았다면, 그것은 대단한 일이다. 그러나 과거는 과거일 뿐이고, 이제 당신은 다시 시작해야 한다. -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