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어떻게 끝나는가
크리스 임피 지음, 박병철 옮김 / 시공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 가까이는 나 자신의 죽음부터 시작해서 아주 멀게는 은하계 중에서도 지구의 종말까지..... 너무나 철학적이고 심오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 어려울거라 생각했는데 인문학, 자연과학,  철학, 생물학 등을 통해 이야기 해주고 있지만 생각보다 어렵게만 느껴지지 않았다.

 

모든 사람들은 태어남과 동시에 매일 늙어가며 결국 죽음을 맞게 된다. 사람뿐만아니라 동물과 식물도 노화의 과정을 걸쳐 죽음을 맞게 되고 인간의 필요성에 의해서 인간이 만들어 낸 모든 것들도 노화의 과정을 걸쳐 시간의 차이가 있지만 결국 망가지고 소멸된다.

 

세계의 모든 사람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예언가 노스트라다무스.... 사실 그를 둘러싼 의문점과 그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수수께끼는 후세의 사람들이 그의 4행시에 해설을 붙인 것으로 한번도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그것을 예언한 것이 아니라 사건이 일어나고 난 후에 4행시에 해석을 붙인 것이라는 말이 있다. 허나 지금도 노스트라다부스의 예언은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으며 평범한 나 같은 사람은 그의 말처럼 곧 지구에 종말이 오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들때도 있지만 마음 한편에는 지구에 종말이 오지 않을거란 믿음 또한 자리잡고 있다.

 

'종말의 10가지 시나리오'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보면 지구 온난화와 생화학 무기의 위험이 지구의 종말을 위협하는 요소지만 핵무기의 증가와 바이러스에 대한 위험성,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인구증가와 그로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 역시 무시할 수 없다. 이런 문제들이 쌓이고 쌓이다보면 언젠가 지구에 종말이 올지도 모르겠지만 저자는 이미 노스트라다무스가 말한 1999년 종말론에 Y2K까지 가세했는데도 그가 말한 지구의 종말은 헛소리라고 당당히 말한다.

 

수 없이 존재하는 별들 중에 하나인 지구... 무수히 오랜 시간을 보낸 우주의 시간 속에 사람이란 생명체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과학자들의 통해 알게 된 우주의 여러가지 현상과 앞으로 우주와 지구에 일어날 일들에 대한 이야기는 매우 흥미롭게 느껴졌다.

 

기껏해야 인간의 수명은 100세를 넘기기 힘들다. 결코 미래의 우리의 삶이 즐겁게 느껴지지 않지만 우주가 종말을 맞기에는 앞으로도 엄청나게 긴 시간이 필요한데 생각이 없는 물질보다는 인간은 확실히 우월한 존재가 분명하므로 미리부터 불안감에 빠질 필요는 없으며 지금  현재의 삶에 충실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술 같은 사건으로 가득 찬 이 우주에서 마지막에 어떤 일이 일어나건, 그게 무슨 상관인가? -P3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