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한 여인의 삶이 이토록 파란만장 할 수 있는지 그저 놀랍기만하다. 모계 혈통에 의해 색공지신(세대 계승을 위해 왕이나 왕족을 색으로 섬기던 신하) 과연 신라시대에 이러한 일이... 무삭제 개정판 '미실'을 통해 한 여인의 삶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색色에 대해 알았다.
저자 김별아 작가의 미실을 예전에 만났었다. 그때 읽으면서도 사실 속으로 조금 충격적이란 느낌을 받았었다. 이토록 매혹적이고 아름다운 여인이 어디 또 있을까 싶은 마음이 들었으며 그녀의 품안에서 세상을 호령하던 남자들도 결국 미실에게 사랑을 구걸하는 모습은 그녀가 가진 것이 미모뿐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까지 얻어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각색되어 방송된 것이 '선덕여왕'이다. 시대 상황으로 선덕여왕과 미실이 결코 권력을 다툴 수 없는 시대 차이를 보이는데도 두 여인을 같은 시대로 묶어서 극을 이끌어 간 것은 선덕여왕에 견줄만한 인물로 미실만한 여인이 없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할머니 옥진으로부터 미태술과 가무를 전수 받으며 자란 미실... 어머니 묘도를 낳은 할머니 옥진의 깊은 속마음과는 상관 없이 진흥제와 연을 맺지 못한 묘도 대신 진흥제를 품안에 넣은 미실은 옥진의 희망이자 꿈이다. 지소태후가 아들 세종을 위해 연 연회에서 세종은 살구나무 아래에서 평생토록 가슴에 묻으며 흠모하는 될 여인 미실을 보게 된다. 세종에 뜻에 의해 이루어진 결혼은 어머니 지소태후로 인해 결국 깨어지게 된다.
궁에서 내쳐진 미실은 어느날 만난 사다함의 매력에 빠지게 된다.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어린 두 남녀는 확실히 느낀다. 서로를 향한 마음은 하늘 같은데 이들의 운명은... 사다함을 가슴에 품은 미실은 세종에 의해 다시 궁궐로 들어가게 되고 이제부터 그녀의 시대가 시작된다.
미실을 둘러싼 일들은 정치적으로 심각한 문제들보다 색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실에게 사로 잡힌 남자들과 주위 사람들에 의해 얽힌 이해관계로 인해서 남녀로서의 관계를 갖는 미실은 어찌보면 색을 탐하는 여인처럼 보이지만 당시 신라시대 상을 놓고 볼때 이는 전혀 이상하지도 음탕하지도 않는 생활이라고 말하고 싶다.
아끼던 아들의 죽음과 관련된 미실을 내칠 수 밖에 없었던 진흥제가 다시 미실을 찾으며 그녀가 좀 더 정치가로서 더욱 확실한 면모를 보여준다. 미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밖의 여인들에 대한 이야기도 놓칠 수 없는 재미를 선사한다. '사랑을 가졌으나 사랑에 휘둘리지 않고, 권력을 탐하나 권력에 매몰되지 않는 미실' 이 보다 미실을 정의 할 수 있는 말이 어디 또 있을까 싶다.
한 눈에 이해하기 쉽게 해 놓은 풍월주 가계도와 미실의 자녀들... 신라의 3명의 왕과 남편이며 풍월주였던 세종을 비롯 사다함, 설원랑과 동생 미생까지 자신의 손안에 넣고 그들을 마음대로 움직이는 힘을 보여준다. 왕을 도와 정사에 나서고 화랑도를 키우는데도 열심이던 미실... 마지막까지 자신의 본분을 잊지 않고 색공지신으로서의 맡은바 임무를 다하는 그녀를 보며 어찌 저리도 대범한지 그저 놀랄뿐이다.
사랑에 살다가 사랑에 의해서 죽어가는 여인 미실... 그녀의 마지막을 잡고 있는 설원랑의 모습은 한편의 아름다운 연인을 보는듯하다. 이미 저자 김별아님의 이전에 나온 '미실'은 수 많은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며 3,400여건의 인터넷 서평을 기록했을만큼 뜨거운 사랑을 받은 작품이다. 이 작품 역시도 지금 한창 세간의 화제를 불러 일으키며 커다란 이슈로 자리 잡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역사 속 인물로 사라져 간 미실을 완벽하게 재현해내며 누구보다 당당하게 자신의 삶을 사랑하며 살았던 미실을 만날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였다.
부드러운게 강한 것이란 것을 확실히 보여준 미실.... 자유연애를 확실히 보여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왜 그리 여인들에게 끝을 알 수 없는 정조를 강조하였는지 미실처럼 확실히 자신의 색깔과 당당함을 보여준 여인들의 기상에 짓눌린 김춘추나 그의 사람들이 여인들이 가지고 있는 기백과 당당함, 용기를 두려워한 것은 아닌지 궁금해진다. 역사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나 연애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를 비롯해서 누구나 읽어도 재미를 느낄 수 밖에 없는 책이란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