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길 2 - 노르망디의 코리안
이재익 지음 / 황소북스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실화를 바탕으로 한 역사소설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얼마나 스토리 속에 몰입하게 만드는 작가의 힘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이재익님의 소설 '아버지의 길'은 흡입력 있는 스토리 전개와 감각적인 내용으로 인해 읽는내내 김길수.. 이 책의 주인공의 마음을 충분히 느끼고 공감하며 아프게 다가온 책이다. 

 

길수는 스기타에 의해서 잡힌 붉은 여우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는 독립운동 하는 사람들을 이끌던 대장인 아내 월화를 구출해내어 위안부들이 있던 방에 숨겨둔다. 곧 다른 곳으로 떠나야하는 길수는 몇년 만에 다시 만난 아내지만 미움보다는 그리움이 더 앞서는 감정을 느끼게 되고 짧은 만남을 통해 아들 건우의 소식을 전해주며 꼭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한다.

 

남편의 도움으로 한시름 놓았던 월화는 다시 일본군의 포로로 잡히려던 찰나 소련군의 폭격으로 간신히 살아 남는다. 폭격이 맞은 기지 내에서 만나게 된 이상한 여인 명선과 함께 도망을 치는데... 명선이 보이는 정신적 고통과 육체적으로 유린된 몸에 나타난 상처와 병균을 보는 월화의 마음은 안타깝고 아프다.

 

아들에게 돌아가려는 길수는 소련군과의 접전이 벌어지는 전투에서 아들 대신 영수를 챙기면서도 살아남기 위해 열심히 싸운다. 한동안 사라졌다 다시 나타난 영수는 삶에 대한 희망도 잃고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며 죽고 싶다는 심경을 토로하지만 길수는 이런 영수를 어떻게든 살려 같이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

 

소련군과 몽골군에 의해 구타를 당하는 길수는 잡힌 23사단 사람들과 시베리아 강제수용소로 이송된다. 그곳에서 23사단의 대좌를 보좌했던 조선인 스파이였던 사람을 만나게 되고 영수와 길수를 고향으로 보내준다는 희망의 말을 듣게 한다. 

 

소련군과 일본군의 포로교환이 예상 밖의 문제에 봉착하면서 이들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며 한가닥 가졌던 흐망이 무너지면서 길수와 영수는 더욱 실의에 빠지게 된다. 또 다시 소련의 붉은 군대에 편입되어 독일군과의 전투에 참가하는데...

 

길수의 아내 월화 역시도 전쟁 속에서 살아 아들 건우를 만나기 위해 힘든 시간을 보낸다. 자신도 지키기 힘든 상황에서 명선을 위해 노력하는 월화의 모습은 같은 여자로서 명선이 받은 고통을 마음속으로 이해하고 감싸안아준다. 죽어가며 명선아씨에 대해 알려준 짜보에 의해 부대에서 탈출을 감행해 월화와 명선을 만나게 된 정대... 정대에게 자신의 몸이 더럽다는 생각에 떳떳하지 못한 명선아씨는 결국...

 

인간의 두 얼굴이 정말 무섭다. 일본이 강하다는 생각에 무조건적인 충성을 바치며 조선인에게 악랄한 행동을 서슴치 않았던 스키타는 자신이 소련군의 포로가 되는 일이 발생하자 이제는 조선인이라며 살기위해 한 행동이니 이해하라는 식으로 행동한다. 사람을 죽이는 것을 극도로 무서워하던 영수가 자신앞에 나타난 스기타를 보며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폭발하고만다.

 

아들 대신 영수를 돌봐주던 길수는 영수의 죽음으로 힘들다. 돌아가려던 고향은 자꾸만 멀어지고 길수에게는 점차 아들의 목소리가 희미하게 들리기 시작한다. 전쟁으로 인해 길수의 몸은 점점 더 병들어 간다. 자유를 찾아가는 그의 노력은 끊없이 이어지며 독일군으로 참가했던 전투에서 잡혀 포로가 된 길수는 벨기에의 작은 임시 수용소 안에서 선교사가 되려는 조선에 호감을 가진 남자를 만나 그에게 마지막 부탁을 한다.

 

전쟁은 누구에게나 무섭고 두렵고 끔찍하다. 특히 남자보다 어린 아이들이나 여성에게 행해지는 일들은 상상을 초월하는 고통을 수반한다. 아들과의 평범한 삶을 꿈꾸었던 남자는 8살의 아들의 얼굴을 보지도 못하고 생을 마감한다. 극한 상황에서도 오직 아들에게 돌아가려는 부정으로 인해 책을 읽는내내 마음이 아팠으며 지금도 아들과의 상상의 대화를 나누고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느낌이 들 정도다.

 

우리의 가장 아픈 역사에 일어난 일을 저자 이재익님에 의해서 생생하게 재현된 이야기.. 김길수라는 인물을 통해 아픈 우리의 역사를 되돌아 보고 아버지로서 무조건 살아남아 아들에게 돌아가고자 했던 뜨거운 부정을 만났으며 전쟁이 사람들의 마음을 얼마나 피폐하게 파괴시키는지 생생히 느낄수 있었다.

 

지금도 지구 어디선가는 계속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전쟁이 주는 폭력성과 야만성이 없어지는 날은 과연 올런지...읽는내내 혼자 남겨져 돌아올 아버지를 그리며 찐 옥수수만 먹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되었던 아들이 불쌍하고 안타깝게 느껴졌다. 역사소설이지만 강한 여운과 먹먹한 가슴에 깊은 감동을 남겨준다. 이 땅의 많은 아버지들이 아들을 지키기 위해 가족을 지키기 위해 전쟁에 참여했을거라 생각한다. 전쟁으로 인해 잠들어 있는 모든분들에게 편히 잠드시길 바라며 아버지의 진한 부정을 만날 수 있는 감동적인 소설이라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