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읽는 십이지신 이야기 뱀 한중일 비교문화 십이지신 시리즈 4
이어령 책임편집 / 열림원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뱀을 좋아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듯 싶다. 허나 뱀술이나 뱀탕을 먹으려는 남자들도 있으며 뱀에 대한 거부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수양하고 덕을 쌓은 시간이 오래되면 용으로 승천한다고해서 좋은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뱀 꿈을 꾸면 임신을 했다고 여기며 커다란 뱀이 임신한 사람에게 가면 큰 인물이 태어날거란 기대도 하게 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뱀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특성상 무섭고 두려운 대상이다. 동양에서도 특히 한국, 중국, 일본는 뱀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은데 고전 회화 속에 등장하는 뱀에 대한 이야기들이나 전설과 신화, 민담에 등장하는 뱀들에 대한 사례들을 읽으면서 한국, 중국, 일본..삼국이 가지고 있는 뱀에 대한 인식이 같은듯 하면서도 서로 조금씩 다른것을 알 수 있었다.

 

옛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옛부터 다산과 풍요의 상징이기도 했다. 뱀이 토속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겨울잠을 자고 허물을 벗는 뱀을 불사, 재생, 영생의 상징으로 보았다.

 

서양에서는 독을 가지고 있으며 땅을 기어서 가는 독특한 모습과 차가워 보이는 눈으로 인해서 두려움의 대상이면서도 뱀을 신으로 숭상하였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티폰이나 히드라 등과 이집트의 쿠눔, 인도의 바슈누은 뱀과 결부되는 신으로 세계 여러 민족에게서 뱀을 숭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독교 성경에 나오는 아담과 이브를 꾀어 원죄를 짓게 한 뱀.. 유대교와 이슬람교에서도 같은 시각으로 보고 있다. 마야, 잉카 문명권에서도 뱀을 숭배 하였으며 뱀 숭배의 최고는 앙코르와트로 앙코르 왕국의 최고신으로 강과 비를 주관하며 물과 땅의 비옥함, 벼농사를 상징 했다고 한다.

 

이렇듯 사람들에게 숭상의 대상인 뱀이지만 인식은 여전히 별로 좋지 않다. 뱀은 동.서양 모두 요사스럽고 간사하며 환영받지 못하는 미물로 취급되고 있으며 뱀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범접할 수 없는 미모의 상징으로 유독 여자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며칠전에 중국 무협 액션 대작 '백사대전'이란 영화를 보았다. 이 영화가 책에서 나온 '백사전'을 모티브로 한 것은 아닌가하는 느낌을 받았다. 판타지 영화로 이연걸이 주인공으로 요괴들을 물리치고 사로잡아 탑 안에 가두어 두는 법사로 나온다. 제목에서 말해주듯 천년 동안 수양한 백사가 산삼을 캐러 온 청년에게 사랑을 느껴 그의 아내가 되어 다른 요괴들이 사람들을 해하러 하는 것을 의사 역활을 하고 있는 남편을 돕기 위해 자신이 수양해서 쌓아온 공력을 나눠주지만 법사에게 사람곁에서 떠날 것을 경고 받게 된다. 법사와의 싸움중 아무것도 모르는 남편의 칼에 찔려 자신이 있던 곳으로 돌아간다. 이후의 내용은 남편이 반성하고 아내인 백사를 살리기 위해 요괴들을 가두고 있는 탑의 열쇠인 산삼을 가져오면서 일이 터진다. 결론적으로 원리원칙만 고집하던 법사는 백사를 탑에 가두지만 자신이 미처 깨닫지 못했던 사랑에 대한 믿음과 신뢰.. 마음을 이해하게 되는 것으로 끝이난다. 중국 영화에서는 뱀이 자주 등장한다. 물론 어여쁜 요괴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뱀을 보는 시각은 서양의 고전에 등장하는 것과는 확연히 다르다.

 

 

세나라를 대표하는 학자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서로의 나라들이 가지고 있는 뱀에 대해 알 수 있는 책으로 기존에 뱀에 가졌던 부정적인 이미지를 넘어 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준 책이다. 주위에 아기를 가지려는 시집 간 조카가 있다. 이왕이면 하늘로 승천하는 용 꿈을 태몽으로 꾸고 싶다고 밝히고 있다. 뱀을 통해서 한중일 세나라의 문화에 대해서 알 수 있는 흥미롭고 재밌는 시간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