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의 반역 유광남 역사소설 1
유광남 지음 / 스타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 역사를 통털어 이순신 장군만큼 임금을 충성으로 섬기고 백성을 위하는 마음이 깊은 사람이 몇이나 될까? 싶은 생각이 든다. 그런 그가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반역을 꾀하다니.. 책의 제목만으로도 충격적이고 쇼킹한 제목이다.

 

 

이순신 장군이 왜군을 물리치며 공을 세우며 백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자 선조는 자신의 왕의 자리가 불안하기만하다. 이순신이 보여주는 백성과 임금을 섬기는 마음을 충분히 알면서도 이순신 장군이 세우는 공을 치하하기보다는 그를 시기하고 질투하며 조정의 신하들을 교묘하게 이용해서 이순신 장군을 죽이려고 마음 먹는다.

 

이순신의 둘째 아들과 같은 나이의 양아들 사야가 김충선.. 그는 조선인 어머니를 둔 일본인으로 귀화한 인물로 누구보다도 빠른 정세를 읽어내는 눈과 머리를 가지고 있다. 처음에는 닌자로 조선에 와서 임금, 신하들의 동태를 감시하지만 조선의 문물과 이순신 장군의 사람됨에 반하게 된다. 사야가 김충선은 자신의 절친이였던 익호장군 김덕룡이 억울하게 죽음을 당하는 모습을 지켜만 본 것을 후회하는데 이제는 그의 양아버지인 이순신 장군을 시기하는 선조 임금이 장군을 죽이려는 음모를 꾸미자 이순신 장군에게 진심어린 말을 건넨다. 그것은 다름아닌 이순신 장군이 조선의 임금이 되어야한다는.... 이순신 장군 자신은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반역을 꾀하려고 한다.

 

사야가 김충선은 선조 임금에게 이순신 장군을 천거한 영의정 유덕룡을 찾아간다. 영의정 유덕룡에게 이순신 장군을 왕으로 옹립하려는 계획을 이야기하고 유덕룡은 사야가 김충선이 선조 임금과 백성, 조정의 신하 거기에 주변 정세까지 정확히 읽어내는 그를 보며 이순신 장군을 임금으로 옹립하는 반역에 힘을 실어주고 싶다.

 

이순신 장군은 선조 임금의 어명을 어기고 일본이 흘린 정보로 이동하지 않는다. 장군 자신이 움직이면 일본의 함정에 빠지며 조선에 커다란 위협이 된다는 생각에 미리 선조임금에게 장계를 올리지만 이것이 중간에 감쪽 같이 사라진 것이다. 선조임금은 이순신을 싫어하는 조정의 신하들을 교묘히 이용해서 이순신 장군을 감옥에 하옥시키며 죽이려고 한다. 임금 자신의 손으로 피를 묻히지 않고 죽이려고 일을 꾸미지만 사야가 김충선과 영의정 유성룡, 도원수 권율, 곽재우에 의해서 뜻을 이루지 못한다.

 

장계를 찾아 선조임금의 둘째 아들인 광해군 세자를 만나러 가는 사야가 김충선... 감옥 안에서 날이 갈수록 육체적으로 약해져가는 이순신 장군.. 광해군의 반정으로 선조임금은... 한편 이순신 장군은 일본의 본토로 침입해서 일본 천황을 잡아 다시는 조선에 침입하지 않는다는 항복을 받아낸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사야가 김충선이란 인물에 대해 잘 몰랐다. 그가 가진 사람됨과 용맹성은 책을 읽는내내 사야가 김충선에게 빠져들게 만들었으며 강한나라, 백성을 위하는 이순신의 나라를 꿈꾸었던 그가 있어 책을 읽는 즐거움이 배가 되었다. 사야가 김충선의 난중일기와 이순신 장군의 심중일기는 색다른 재미를 선사하고 있으며 꼭꼭 숨겨두었던 장계가 발견되지 않았다면 이나라 조선의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지...잠시 생각만해도 흥미롭다.

 

책은 분명히 픽션 소설이다. 역사 속 이순신 장군은 모함에 의해 감옥에 투옥되었을때 분명 왕에게 실망을 넘어 절망 했을 것이고 사리사욕에 눈이 어두운 신하들의 당쟁의 희생양인 자신의 모습에 절망했을 것이다. 전쟁 중에서도 감옥에 하옥되는 이순신 장군이 죽음을 맞았다면 우리의 역사는 어떻게 변했을지 아무도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을거라 생각한다. 소설처럼 이순신이 장군이 왕의 자리를 생각해 봤다면 그가 통치하는 조선은 어떤 모습일지..

 

억울한 누명에도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잃지 않았던 이순신 장군이지만 그가 반역을 꿈꾼다는 설정만으로도 소설이 주는 재미는 남달랐다. 저자의 다른책 '사야가 김충선'3권이 근간예정이라고 보았는데 사야가 김충선이 가지고 있는 캐릭터에 매력을 느껴 책이 나온다면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