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 워크 - 가정과 자유 시간을 위한 투쟁의 역사
헬렌 헤스터.닉 서르닉 지음, 박다솜 옮김 / 소소의책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주의의 특징은 노동력의 상품화, 노동 시간의 상품화다. 노동 시간의 상품화는 계급, 성별, 학력에 따라 차별화되고 위계화된다. 똑같은 노동 시간을 투입해도 임금 수준에 커다란 격차를 보이게 된다. 한때 새로운 기술이 이런 구조적 불평등을 해소시킬 것으로 내다본 순진한 이들이 있었다. 특히 매케한 굴뚝 자본주의와 경합을 벌이던 시절에, 사회주의 진영은 기술이 노동력을 증대하고 노동 시간을 단축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시쳇말로 '저녁이 있는 삶'이나 주4일 근무제 같은 비전이 그러하다. 하지만 결과는 의외였다. 가령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진공청소기 같은 기술은 가사노동의 편의를 증대시켰지만, 가사노동 시간을 줄이는 데는 실패했다. 이를 역사학자 루스 슈워츠 코완의 이름을 따서, '코완의 역설'이라고 부른다.

어째서 노동을 절감시켜 주는 모든 장치에도 불구하고 가정 내에서 노동이 줄어들지 않았을까? 편리한 가전제품들은 오히려 요리, 청소, 돌봄의 개인화를 조장했고(즉 가정주부 혼자서 한 집안의 가사 노동 전체를 떠맡았고), 갈수록 가사노동의 기준을 상향 조정시켰으며, 무보수 가사노동의 시간은 냉동시킨 채 가사노동의 저임금 외주화를 불러왔다. AI와 로봇은 과연 코완의 역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영국 사회학자 헬렌 헤스터와 경제학자 닉 스르니첵은 탈노동사회의 꿈을 현실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한다. 노동이 일터의 임금노동과 가정의 사회 재생산 노동으로 나뉘는 것처럼, 탈노동의 현실화는 일터와 가정 이 두 영역의 재구성과 변혁을 요구하기 마련이다. 일터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그동안 요리, 청소, 육아, 돌봄 등과 같은 무보수 가사노동이 만연했던 가족 구조의 재편과 주거 공간의 변화다. 특히 남성 생계 부양자와 가정주부, 학교에 다니는 자녀들로 이루어진 핵가족 형태의 재조정이 필수적이다. 물론 남성 생계 부양자 모델은 이미 종언을 맞이했고, 상대적으로 맞벌이 가정이나 반맞벌이 가정이 늘어나고 있지만, 탈노동과 자유시간의 확보를 위해선 기존 가족구조의 형태변화가 필수적이다.

탈노동, 탈자본의 핵심은 '시간'이다. 특히 진정한 자유시간의 확보가 필수적인데, 자유시간이란 '우리가 하고자 하는 것을 위한 시간'이다. 저자들은 자유시간을 잡아먹는 사회재생산 노동을 개선해나가기 위해선 다음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바로 기술의 발전, 사회적 기준 강화, 가족 형태의 변화, 주거 공간의 실험이다. 탈노동 프로젝트의 목표는 "필수 노동을 가능한 한 줄이는 동시에 자유를 가능한 한 확장하는 것"이다. 지금보다 더 자유롭고 자기 주도적인 삶을 마다할 사람은 없다. 다만 한국인은 '한강의 기적'이라는 고도 압축 성장에 길들여진 편이라서, '탈노동'이란 말이 그리 매력적으로 들리진 않는다. 아무튼 저자들은 탈노동 사회를 위한 세 가지 핵심 원칙으로 공동 돌봄, 공공 호사, 그리고 시간 주권을 제시한다.

공동 돌봄은 두 가지 조건이 있다. 하나는 돌봄 관계를 핵가족이라는 하나의 틀 안으로 한정하려는 법ㆍ문화ㆍ경제 차원의 장려책을 페지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현재 가족 단위에 할당된 책무를 더 잘 이행할 수 있는 대안적 제도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공동 호사는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이 모든 것을 누릴 수 있는 것", 훌륭한 도심 공원이나 도구의 공동 소유처럼 공동의 웰빙을 위한 제도적 조치와 삶의 양호한 조건을 말한다. 시간 주권이란 단순하게 우리가 개인적으로 원하는 무엇이든 시간을 쓸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규범과 의무를 우리가 살아가는 집단 내에서 스스로 결정한다는 의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원스쿨X위글위글 일본어 진짜학습지 첫걸음 - 하루 10분! 일본어가 저절로 외워지는 새로운 공부 습관 시원스쿨X위글위글 일본어 진짜학습지
시원스쿨 일본어연구소 지음 / 시원스쿨닷컴 / 2024년 1월
평점 :
절판


외국어는 처음에 기초를 잘 닦아놓아야 한다. '명탐정 코난' 마니아의 일본어 첫걸음을 위해 시원스쿨에서 펴낸 이 책을 택했다. 왕초보 자녀가 외국어 공부를 시작하는 것은 마치 태권도 도장에 첫 발을 내딛는 것과 흡사하다. 시작은 가볍게, 그러나 매일 꾸준히 해야 한다. 자세와 몸놀림이 유창하지 못해도 기합은 우렁차야 하는 것처럼, 외국어 발음을 큰 소리로 따라 읽어야 한다. 태권도 기본 품세 동작이 자연히 몸과 근육에 스며들도록 해야 하는 것처럼, 외국어 발음과 문장도 몸에, 특히 입과 귀에 스며들어야 한다.

일본어는 어순과 한자어 때문에 한국인이 가장 배우기 쉬운 외국어에 속하지만, '웃으며 들어가 울면서 나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고급 수준은 녹록치 않다. 왕초보가 걱정할 단계는 아니지만, 한자와 사자성어, 관용 이디엄에서 잠시 헤맬 수도 있다. 일본어는 한자를 음독과 훈독 두 가지 방식으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자 이름을 어찌 읽어야 하는지 본인에게 물어봐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 연유다.


누구에게나 커피 한 잔 마실 정도의 시간은 있다. 따라서 조급해하는 마음만 다스릴 수 있다면 충분히 60일간 10분씩 투자해 얄팍한 일본어 학습지를 완파할 수 있다. 학습 분량 자체가 꽤나 가볍기에 부담감이 없다. 오직 꾸준함과 성실함만 요구할 뿐이다. 휴식 시간에 커피 마시며 머리를 처박고 스마트폰 들여다볼 짬에 학습지를 한 번 더 쳐다보면 된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발음과 쓰기부터 시작하지만, 전반적인 외국어 학습의 목표 의식을 잃지 않도록 JLPT N5 모의테스트까지 수록하고 있다. 학습지에 수록된 중요 어휘를 점검할 수 있도록 리얼 단어 카드 암기 동영상을 무료로 제공하고, 동영상 QR 코드는 기본이다.


학습 후반부에 배우는 문장구조를 예를 들면, '동작을 주고 받는 수수 표현'이 핵심이고, 단어 수준은 '서울, 안내, 사진, 보여주다, 카메라, 빌려주다, 영어, 가르치다, 선배, 밥, 한턱내다, 요리, 만들다, 모르는 사람, 길, 찍다, 작문, 고치다' 정도다. 대략 스무 개 안팍의 단어를 익혀야 한다. 매일 학습지의 네 단계를 착실히 따라가다보면 어느새 명탐정 코난 만화를 읽어나갈 수 있는 내공이 쌓이지 않을까 싶다. 자, 화이팅이다.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재천의 곤충사회
최재천 지음 / 열림원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곤충 사회는 인간 사회의 작은 판박이다. 경쟁하고 협력하는 곤충의 세계는 인간 사회를 빼닮았다. 특히 개미는 사회성 곤충의 대명사다. 이 세상에서 가장 인간과 비슷한 생명체가 바로 개미라는 얘기다. 그리고 그런 곤충 이야기로 우리를 매혹시키는 맛깔난 이야기꾼들이 있다. 가령 사회생물학자 최재천 선생이 바로 그런 타고난 이야기꾼이다. '한국의 파브르'라고나 할까. 곤충의 생태와 행동을 통해서 인간의 모습을 그려내고 설명하는 능력이 특출하다. 사회생물학자는 "사회를 구성하고 사는 동물의 생태와 진화를 연구하는 학자"다. 선생은 개미와 민벌레 등 곤충에서 시작하여 거미, 민물고기, 개구리를 거쳐 까치, 조랑말, 돌고래, 영장류까지 다양한 동물의 행동과 생태를 연구했다.

선생에게 난생처음 사회생물학의 안경을 씌워 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의 H. B. 그레이브스 교수는 "왜 일개미들이 자기를 희생하면서까지 사회를 위해서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지를 이론적으로 파헤치고 공부하는 학문"이 바로 사회생물학이라고 했다. 그리고 일개미들이 기꺼이 희생하며 협동하는 정신을 발휘하게 된 맥락을 잘 설명하는 결정적 이론이 미시간대학교의 생물학자 윌리엄 해밀턴의 '포괄적합도 이론'이다. 유학 시절 저자의 마음을 무척 설레게 했던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도 바로 해밀턴의 이론을 쉽게 풀어쓴 것이다.

선생은 지구 생태계에서 무게로 가장 성공한 존재인 식물과 숫자로 가장 성공한 존재인 곤충의 관계를 "자연이 이룩한 가장 위대한 성공 사례"라고 간주한다. 식물계와 곤충계의 윈윈 상생관계는 호모 사피엔스에게 많은 시사점을 가져다준다. 역대 최대 멸종이 되리라는 '6차 대멸종'의 원인이 바로 호모 사피엔스에게 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 바로 생태학적 상상력과 연민이 결여된 호모 사피엔스 때문이다.

6차 대멸종을 우려하는 진지한 과학자들이 적지 않다. 꿀벌이 사라지면 4년 안에 인류가 멸망한다는 말이 나도는 뒷배경이기도 하다. 그런데, 지구를 뒤덮고 있는 식물이 사라지면 인류도 바로 공멸할 것이 분명하다. 그런 인간 구원에 가장 시급한 것이 '생태 백신'이고, 이런 생태 백신으로 새로이 거듭난 인간이 바로 자연계의 다른 생물들과 공생할 수 있는 심성과 행동을 보이는 '호모 심비우스', 즉 공생인이다.

"지금 이 순간 우리 인류에게 주어진 전환은 생태적 전환밖에 없습니다. 기술의 전환도 아니고, 정보의 전환도 아닙니다.

죽고 사는 문제에 부딪쳤습니다. 생태적 전환을 해야 합니다. 호모 사피엔스라는, 현명한 인간이라는 자화자찬은 이제 집어던지고 호모 심비우스Homo symbious로서 다른 생명체들과 이 지구를 공유하겠다는 겸허한 마음으로 거듭나야 합니다. 공생인으로 거듭나야 합니다.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기 때문입니다."(27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학십도 - 수천 년 지혜를 만나는 가장 손쉬운 길 클래식 아고라 5
이황 지음, 강보승 옮김.해설 / arte(아르테)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협세계에 나오는 궁극의 무림비급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이 『구양진경』과 『구음진경』이다. 동방 유가의 세계에서도 그런 궁극의 비급이 한 권 있다. 바로 조선 유학의 집대성자 퇴계 이황(1501~1570)이 선조 임금에게 올린 수신서인 『성학십도』다. 『성학십도』는 성덕지학(成德之學)의 정수를 담은 비급이자 진경이라 하겠다. 성학(聖學)은 성인과 현인이 되는 길을 바르게 제시한 '공맹정주'의 도학을 말한다. 퇴계는 『성학십도』를 올리며 이 책의 그림과 해설을 병풍과 작은 책자로 만들어 임금의 주위에 펼쳐 놓고 항상 보면서 실천할 것을 부탁한 바 있다.

대체 유가의 성인은 어떤 경지에 도달한 인간인가. 북송의 유학자 장재에 따르면, 성인이란 천지를 위하여 마음을 확립하고, 민중을 위하여 도를 확립하고, 과거의 성인을 위하여 끊어진 학문의 계통을 잇고, 미래의 세대를 위하여 태평을 여는 사람이다. 천인합일(天人合一), 수기치인(修己治人) 혹은 수기안인(修己安人), 내성외왕(內聖外王) 등이 바로 성인의 경지를 묘사한 대표적인 문구다.

『성학십도』는 유학의 본체와 공부의 전 과정을 그림 열 폭에 정리한 것으로, 서문(진성학십도차), 열 개의 그림과 그 그림들에 대한 해설의 총 열 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해자 강보승은 『성학십도』를 "삶을 안내하는 지도"에 비유한다. 열 폭의 그림 혹은 지도는 태극도(太極圖), 서명도(西銘圖), 소학도(小學圖), 대학도(大學圖),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인설도(仁說圖), 심학도(心學圖), 경재잠도(敬齋箴圖),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이다. 이중 일곱 개는 옛 현인들이 작성한 것 중에서 추린 것이고, 나머지 세 개(소학도, 백록동규도, 숙흥야매잠도)는 16세기 한국 성리학의 태두인 퇴계 본인이 작성한 지도다.

천인합일의 큰 맥락에서 본다면, 열 개의 지도는 다시 천도(天道)와 인도(人道) 두 관점으로 나뉜다. 바로 「태극도」를 중심으로 한 다섯 개의 지도는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원리를 보여준 천도적 관점이고, 「심통성정도」를 중심으로 한 다섯 개의 지도는 수양론의 인격형성 방법을 제시한 인도적 관점이다. 퇴계에 따르면, 「태극도」부터 「백록동규도」까지는 하늘의 도를 근본으로 하고 있고, 인간이 나아가야 할 길을 밝히고 덕을 쌓아가는 데에 힘쓰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유가 심학의 비결을 담은 「심통성정도」는 상중하 세 그림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도는 원나라 유학자 정복심이 그린 것이고, 중도와 하도는 퇴계가 그린 것이다. 바로 여기에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이기(理氣)의 내용을 담고 있다. 퇴계에 따르면, 「심통성정도」부터 「숙흥야매잠도」까지는 "마음과 본성을 기반으로 한 것이니 그 요점은 일상생활에서 힘써 공부하고, 공경하고 조심하는 마음을 소중히 보존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3의 신 - 신이 없다면 우린 행복할까?
앤서니 T. 크론먼 지음, 이재학 옮김 / 돌밭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에 그냥 끌리고 말았다. '제3의 신'이란 제목을 보자마자 반사적으로 내가 좋아하는 두 명의 이름이 떠올랐다. 존 힉과 스피노자. 존 힉은 종교 다원주의의 대부격인 종교 철학자이자 신학자다. 내가 '신정론' 화두에 빠져들게 되면서 매우 좋아하게 된 '월클' 사상가다. 이단의 철학자 스피노자는 기성 종교의 신관과는 다른 차원의 영성의 확장을 보여주었는데, '제3의 신'이란 문구를 만약 철학도가 썼다면 십중팔구 '스피노자의 신'을 의미했을 정도다. 아니나 다를까, 철학자 앤서니 T. 크론먼의 '제3의 신'도 기본적으로 '스피노자의 신'과 같은 맥락에 놓여 있다.

잘 알다시피, 서구 문화의 양대 기둥은 의문에 기반한 헬레니즘과 믿음에 기반한 헤브라이즘이다. 헬레니즘의 성소가 아테네라면, 헤브라이즘의 성소는 예루살렘이다. 아테네가 의문과 지성의 도시라면, 예루살렘은 믿음과 영성의 도시다. 유대교, 천주교, 기독교 같은 아브라함의 종교들이 태동한 곳이 바로 예루살렘이다. 나는 어릴 적에 천주교 신자였던 터라 예루살렘을 포함한 성지순례가 커다란 인생숙제처럼 남아 있다. 내가 오랫동안 '냉담자' 신세로 살게 된 여러 이유 가운데 니체, 카뮈, 사르트르 같은 철학자들의 영향력도 상당했다.

그렇다, 나도 한때 저자의 어머니처럼 카뮈와 사르트르의 실존철학을 신봉했다. 저자 어머니가 96세로 돌아가실 때까지 그 무신론적 인본주의 노선을 꿋꿋하게 지켜나갔던 것에 반해(이것 역시 대단한 믿음의 경지 아닐까 싶다), 반백의 문턱을 넘은 나는 한번 더 전향했다. 무신론이 아닌 유신론 노선으로 말이다. 다만 내가 믿는 신은 아브라함 종교의 신이 아니라 '제3의 신', '스피노자의 신'이다. 나는 여전히 기성 종교에 대한 반감이 크다. 예루살렘의 신들과 광신도들은 너무나 반인본주의적이다. 끊이지 않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유혈 전쟁을 보라.

인본주의는 크게 철학적 인본주의와 종교적 인본주의로 나뉜다. 철학적 인본주의자는 기본적으로 무신론자다. 한편, 종교적 인본주의자는 기본적으로 유신론자다. 저자의 어머니가 애독한 카뮈의 대표작 《이방인》 역자의 말을 빌면, 내가 젊은 시절 신봉한 카뮈의 인생관은 다음과 같다.

"비록 의미와 목적이 없다 해도 인생은 인간의 손에 쥐어진 전부이고, 그가 알 수 있는 유일한 실제다. 인간이 이를 인지하고 환상을 떨쳐버린다면 그는 인생에 즐기고 기뻐할 대목이 많음을 발견하게 된다…카뮈는 삶과 죽음의 온전하고 끔찍한 짐을 모두 인간에게 지웠다. 그는 신의 도움과 영생이라는 희망을 전혀 제시하지 않았다. 카뮈는 인간 각자의 삶과 행위가 자기 자신과 동료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온전히 개인의 책임이라고 했다. 암울하고 거의 압도적으로 무거운 짐이지만 인간은 그것을 충분히 감당할 능력이 있다고 카뮈는 말했다."(153쪽)

무신론자와 실존주의자는 '탄생에서 죽음까지'를 논하지, 탄생 이전이나 죽음 이후를 논하지 않는다. 또한 인간의 자유의지를 중시하고, 일련의 자유로운 선택이 만든 삶의 의미와 결을 중시한다. 하지만 일부 과학으로 무장한 호전적인 무신론자는 나가도 너무 나갔다. 영원성의 화두를 완전히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의 따끔한 지적대로, 영원성의 양대 요소가 초시간성과 무한성인데, 무신론자는 그저 영원성을 천국, 종교, 신과만 연계시킨다. 영원성에의 갈망을 인간 조건의 중심으로 되돌려 놓을 필요가 있고, 더 나아가 인본주의와 양립가능한 신이 있을 수 있다. 그게 바로 '제3의 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