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명을 보는 기술 - 역술가 박성준이 알려주는 사주, 관상, 풍수의 모든 것
박성준 지음 / 페이지2(page2) / 2025년 10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사주명리는 질적인 해석이 중요하다. 선불교의 용어를 빌면, 체구연마(體究鍊磨)가 중요하다. 직접 몸으로 부딪쳐 봐야 한다는 것이다. 사주명리의 음양학이 누군가에겐 단지 정보나 지식 차원에 머물지만, 체구연마를 거친 내공이 있는 이에게는 인생 과제를 풀어주는 밝은 지혜가 된다. 유명 역술가 박성준이 '운명을 보는 기술'의 개론서를 펴냈다. 사주, 관상, 풍수 세 가지 기술의 기본을 알려주는데, 내용의 비중으로 보자면 사주와 관상이 주고, 풍수는 맛보기 정도다.
저자는 운명을 알려주는 신호에 대한 민감도를 높일 것을 주문한다. 이러한 신호는 말, 태도, 얼굴 표정이나 작은 사고의 전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운(길흉)이 바뀌는 교운기에 그런 신호들이 나타나는 법이다. 《주역》에도 '견미지저'라 했다. '작은 징후를 보고 큰 변화를 안다'는 말이다. 이런 개운의 신호들에 대한 선인들의 통찰력이 '호사다마'나 '과유불급' 같은 성어에 잘 드러나 있다. 호사다마는 '좋은 일이 생기려 하면 마가 낀다'는 말이다. 과유불급은 운명학의 시각에서 보면, 균형과 조화를 잃으면 운이 트이지 않는다는 말과 다를 바 없다. 사주팔자도 목화토금수 오행의 균형과 조후가 중요하다.
평범한 장삼이사가 생년월일시로 운명을 읽는 사주팔자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단 개운을 위해서다. 그리고 자기실현을 위해서다. 고전 명리서 《적천수》에 따르면, "성명합일, 복록자수"라 했다. "천성과 운명이 하나가 되면 복록이 저절로 따른다."는 말이다. 그러면 복록을 까먹는 이들은 어떤 부류일까. 저자는 운이 나쁜 사람들의 공통적인 태도를 이렇게 소개한다. 가령 '작은 신호를 무시한다, 탐욕과 오만이 크다, 현실을 외면한다, 자기 인식을 못한다, 분노와 집착이 강하다' 등이다.
사주 명식의 재관(財官)을 보면 이성에 대한 태도와 운도 알 수 있다. 남자는 재(내가 극하는 오행)를 보고, 여자는 관(나를 극하는 오행)을 본다. 재는 남자에게 돈과 여자인데, 남녀 공히 재는 돈과 무언가를 관리하고 마무리하는 능력이다. 관은 여자에게 남자를 의미하고, 남녀 공히 관은 명예와 합리성, 참고 인내하고 견디는 힘이다. 따라서 남자의 지갑을 살펴보면, 여자를 대하는 태도를 읽어낼 수 있다. "지갑이 누추하다는 것은 곧 집이 누추하다는 의미이고 아내에게 관심이 없다는 얘기다." "돈을 주머니에 아무렇게나 구겨 넣고 다니는 사람은 일단 여자를 우습게 여길 확률이 높다." 정말 예리한 식견이 아닐 수 없다. 여성분들은 애인이나 배우자의 지갑과 돈의 상태를 유심히 살펴보길 바란다. 한편, 사주에 관이 없는 무관사주의 여자는 '남자가 잘 안 생긴다'는 의미도 있지만 남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기 삶을 스스로 꾸려가는 힘을 가졌다고 볼 수도 있다.
동양 관상학의 정수를 담은 고전인 《마의상법》은 중국 송나라의 도인 마의도자가 구전한 것을 진단이 정리한 관상서다. 《마의상법》은 상을 크게 여덟 가지로 나눈다. 귀상, 부상, 악상, 빈천상, 고상, 수상, 요상, 위상이다. 좋은 상이 귀상, 부상, 수상, 위상이다. 여기서 눈과 코가 중요한데, 눈은 귀(貴)를 관장하고, 코는 부(富)를 관장한다. 나머지는 피하거나 조심해야 할 상이다. 그중 특히 여섯 가지 천한 상을 '육천상'이라 하는데, '부끄러움을 모르는 자, 일을 당하고 그저 웃기만 하는 자, 나가고 물러서는 것에 밝지 못한 자, 남의 단점을 말하기 좋아하는 자, 자기 자랑을 일삼는 자, 아부에 능한 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