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밥 - 제133회 나오키상 수상작
슈카와 미나토 지음, 김난주 옮김 / 예문사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133회 나오키상 수상작이라는 빨간 띠가 이 책을 더 돋보이게 한다.

이 책을 펼쳐 보기도 전에 이미 문단의 평가를 받는 공인된 작품성이 가독성을 준다.

이 책에는 여섯 개의 단편이 소개되어 있다.

이 단편들은 각각 독립성을 유지하고 완전히 별개이기에 우선 장편을 읽을 때의 부담감을 갖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가벼운 마음으로 책을 일을 수 있었다.

이 책 제목이기도 한 [꽃 밥]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환생에 대한 이야기이다.

시게타 기요미로 환생한 후미코. 죽기 전에 그가 살았던 집과 가족들을 고스란히 기억하고 있는 어른 아이. 결국 그가 자란 히코네를 찾았고, 그 곳에서 확인되는 시게타 기요미의 존재, 그리고 자기가 죽은 이후 거의 식음을 전폐하고 사는 해골만 남은 노인이 가슴을 아리게 한다.

그 할아버지는 지금도 죽은 딸을 잊지 못하고 매달 한 번도 빠지지 않고 딸의 무덤을 찾아 간다는 말을 듣는다. 그리고, 그녀가 찾아 간 날이 이번 달의 기일이었다. 할아버지에게 전달된 꽃밥, 그 꽃 밥은 시게타 기요미가 살아 있을 때 만들기를 좋아했던 것으로서 그 할아버지와 식구들에게 시게타 기요미의 소행임을 충분히 확인해 주는 증거가 된 것이었다.

자신의 죽음을 슬퍼하여 차마 밥을 먹지 못하고 사는 아버지를 위해 꽃 밥을 만들어 전달하는 그 아릿한 마음이 단순한 이야기로 읽혀지지 않는다.

참 묘한 세상과 도까비의 밤은 죽음과 삶의 의미를 깊이 생각하게 한다.

죽은 이후에도 계속 동네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정호, 그리고, 살아 있을 때 사랑했던 세 사람의 여자를 만나고야 비로소 움직이는 영구차의 이야기는 죽어도 죽은 게 아니라는 속설을 입증해 주는 것 같은 현실감을 준다.

요정식물의 이야기는 동화 같기도 한데 실내용은 깊은 슬픔으로 끝난다.

요정식물을 키우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데, 이 소설의 결말은 여주인공에게는 처절한 슬픔을 안겨 주고 끝을 맺는다.

가슴을 조이던 첫 사랑이었던 다이스케 씨가 어머니와 눈이 맞아 가출을 하고, 주인공이

느꼈던 상실감이 가슴으로 전해 온다. 삼십년이 흘러도 생생한 슬픔에 나도 모르게 가슴이 저린 통증이 된다.

그리고, 주인공은 말한다.

[이 세상에 모든 사람이 고루 행복해 질 수 있는 일은 존재하지 않는다. 누군가의 행복 뒤에는 반드시 누군가의 불행이 있다. 행복이란 대개가 어딘가 뒤틀려 있다]. 책 속에서 주인공의 입을 빌어서 고백한 작가의 선언이 깊은 공감을 준다.

짧은 여섯 개의 단편이지만 어떤 장편에서 보다 더 깊은 삶의 진리가 풍부하게 감추어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