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으로 올라간 백만 개의 굴 - 지구의 시간을 품은 지층과 화석 이야기 신나는 새싹 164
알렉스 노게스 지음, 마이렌 아시아인 로라 그림, 권지현 옮김 / 씨드북(주)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살아 가면서 아주 사소하고 우연한 기회를 만나는데, 그 우연하고도 사소한 경험들이 어떤이들에게는 운명적인 사건이 되기도 합니다. 이 책의 저자가 바로 그런 사람입니다.

저자는 열두 살 때, 산에서 형제들과 함께 골프를 치던 중 골프공이 암석에 붙어 있는 조개껍데기 같은 것에 들어가고 말았어요.

 

바다는 거기로부터 50km나 떨어져 있어서 이날의 의문은 결국 저자를 지질학자가 되게 하였고, 백악기의 바다를 누비다가 알렉시나 파피라체아라는 화석을 발견하게 됩니다.

사실, 이 이름은 저자의 이름을 따서, ‘알렉시나라고 이름을 붙였고, ‘파피라체아는 이집트의 종이 파피루스처럼 유명해지라고 붙였다고 설명합니다.

 

이 책은 어린이용의 그림책입니다.

저자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지식을 주입식으로 어린이들에게 강요하지 않고, 어린이들과 함께 호기심 탐험 여행을 출발하는 형식을 취합니다.

 

나랑 같이 산책하로 갈래요?, 주의를 둘러봐요. 무엇이 보이나요?’와 같이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유도하면서 어린이들이 스스로 활동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점점 주제를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막연한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유도해 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작가의 이런 의도를 환상적인 그림들이 절묘하게 호기심을 자극하고, 상승시키는 효과를 발휘해 주고 있습니다. 복잡하지도 화려하지도 않으나, 단순하면서도 섬세한 색감과 터치의 그림들이 즐거운 수수께끼의 골짜기로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산꼭대기에 있는 굴은 8,500만년 전에 있었던 것이라거나 어려운 지층 같은 것을 어린이들에게 설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므로, 작가는 책에서 설명한 어려운 단어나 내용들은 책 뒤에 용어 설명을 따로 정리해서 쉽게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나는 어른이지만 이 책의 내용은 잘 모르고 있었던 것들이기에 어린아이와 같은 호기심으로 이 책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옛날 바다였던 곳이 산이 되면서, 바다에서 살던 굴이 화석이 된 과정을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작가는 이에 그치지 않고, 동봉된 자연 관찰 노트에 어린이들이 스스로 돋보기, 연필, 망치를 들고 밖으로 나가서 탐험한 것들을 기록하도록 자연스럽게 권유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