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나 소중한 책을 이제 읽기 시작했다. 소중한 책인만큼 아껴 읽고 싶기도 하고, 재미있어서 빨리 읽고 싶기도 하고.
읽다보니 할머니 생각이 났다 ㅜㅜ

내게 희령은 언제나 여름으로 기억되는 도시였다. - P9
왜 개새끼라고 하나. 개가 사람한테 너무 잘해줘서 그런 거 아닌가. 아무 조건도 없이 잘해주니까, 때려도 피하지 않고 꼬리를 흔드니까, 복종하니까, 좋아하니까 그걸 도리어 우습게 보고 경멸하는 게 아닐까, 그런 게 사람 아닐까. 나는 그 생각을 하며 개새끼라는 단어를 가만히 내려다봤다. 나 자신이 개새끼 같았다. - P13
마음이라는 것이 꺼내볼 수 있는 몸속 장기라면, 가끔 가슴에 손을 넣어 꺼내서 따뜻한 물로 씻어주고 싶었다. 깨끗하게 씻어서 수건으로 물기를 닦고 해가 잘 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널어놓고 싶었다.
그러는 동안 나는 마음이 없는 사람으로 살고, 마음이 햇볕에 잘 마르면 부드럽게 좋은 항기가 나는 마음을 다시 가슴에 넣고 새롭게 사작할 수 있겠지. 가끔은 그런 상상을 하곤 한다. - P14
"대접받을 줄도 알아야지"
(대접 받을 줄 알아야 한다.) - P27
그렇지만 그게 다 무슨 소용일까. 사람이 사람을 기억하는 일, 이 세상에 머물다 사라진 누군가를 기억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지 알 수 없었다. 나는 기억되고 싶을까, 나 자신에게 물어보면 답은 언제나 기억되고 싶지 않다는 것이었다.
(난 아닌데 ㅎㅎ 기억되는 건 큰 의미인데...) - P82
내가 새비 아주머니의 입장이었더라도, 나는 남편을 위해 그만큼 울었을 것이고 남편을 다시 만나서도 그만큼 행복햏을 것이다. 전 남편이 저버린 것은 그런 내 사랑이었다. 내가 잃은 것은 기만을 버리지 못한 인간이었지만, 그가 잃은 건 그런 사랑이었다.
누가 더 많이 잃었는지 경쟁하고 싶지는 않지만 적어도 그 경쟁에서 나는 패자가 아니었다. - P100
"헤어졌을 때 얼마나 고통스러윘을지 상상하니까 그런 생각이 들어요. 차라리 증조할머니랑 새비 아주머니가 처음부터 만나지 않았다면 그런 일을 겪지 않아도 됐을 텐데. 서로 모는 채로 살았다면"
"정말 그렇게 생각하니?"
(난 정말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 P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