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정의 히말라야 환상방황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에 오르는 것은 부담스럽다. 저질체력으로 올라가는 것도 힘들고 내려오는 것은 다리가 풀려서 더욱 힘들다. 그 다음 날은 물론 며칠은 앓아 누울지도 모른다. 물론 산에 오르면 정말 좋다. 호연지기를 기를 수 있는 좋은 장소인데다가 그동안과는 다른 시야에 마음을 빼앗긴다. 하지만 산에 오르지 않을 이런 저런 이유를 붙이게 되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나에게는 다른 일이 더 흥미로운가보다. 그러니 더 높고 험준한 산인 '히말라야'는 이번 생에는 절대 가지 않을 곳으로 손꼽을 수 있다. 춥고 힘들고 부담스러운 산이다. 돈들이고 시간들이며 고생하고 싶지는 않다. 그런데 소설가 정유정이 히말라야 여행을 했다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은 소설가 정유정의 첫 에세이다. 프롤로그를 보며 나도 이 상황이라면 여행을 가고 싶어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평소에 가고 싶었던 곳이 특별하다.

들개처럼 쏘다니고 싶을 때마다, 일이 힘에 부칠 때마다 떠올리던 특별한 곳이 있었다. 다섯 번째 출간작이자, 등단작인 《내 심장을 쏴라》의 주인공, 승민의 특별한 곳이기도 했다. 그를 새처럼 자유롭게 했던 세상, 눈멀어가던 순간까지 그리워하던 신들의 땅. 안나푸르나. (11쪽)

욕망이라는 엔진이 꺼져버린 상태, 불씨까지 타버린 잿더미가 된 기분, 결국 정유정 작가는 "나 안나푸르나 갈 거야."라고 통곡한다. 새벽 3시에.

 

그 이후 동행자를 구하고 안나푸르나 환상종주를 계획한다. 안나푸르나에도 여러 가지 코스가 있는데, 마르상디 강을 따라 오르는 동부 마낭 지역, 칼리간다키 강을 따라 내려오는 서부 무스탕 지역. 동에서 서, 혹은 서에서 동으로 도는 것이 환상종주다. '환상'이라는 것이 '환상적이다'라고 할 때의 의미인 줄 알고 읽었는데, 그 뜻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 뜻을 오해했기에 이 책을 읽어보고 싶어진 것도 사실이다. 정유정 작가라면 특별히 환상적인 여행을 했을 것이라는 기대감 말이다.

 

환상적인 내용이 가득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지극히 현실적인 여행기였다. 좌충우돌 투덜투덜, 게다가 음식도 입에 맞지 않는다. 그런데 그런 것이 묘하게 재미있어서 빼놓지 않고 읽게 만든다. 비행기를 오래 타서 마살라향이 이상했던 것이 아니라, 그 향이 맞지 않아서 계속 음식 선택에 고충을 느꼈던 것이다. 티베트 음식이라면 괜찮을 것 같아서 툭바(티베트 칼국수)를 먹었지만 지나치게 짜고, 너무 걸쭉하고, 어김없이 강렬한 마살라 향을 풍겼다. 결국 커피믹스 두 개를 타서 마시는 상황, 그 장면을 떠올리게 된다. 얼마나 맛있었을까. 또한 음식을 앞에 두고 먹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안타까웠을까. 그러면서 노고단 대피소에서 남편과 함께 먹은 라면을 떠올리는 장면도 웃음이 나면서 뭉클했다. 그런 고충이 있었기에 마살라 없이 볶음밥을 시켜 먹고 성공한 장면도 왠지 뿌듯하다.

 

그녀의 솔직담백한 여행기에 이상하게도 마음이 간다. 읽는 이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느낌이다. 끙끙대며 고개를 올라가고 아등바등 헉헉거리며 뒤따라가는 장면이 눈앞에 펼쳐진다. 그런 것이 싫어서 산에 오르기를 주저하는 나 자신을 보는 듯하다. 분명 다녀오면 인생에서 커다란 점 하나를 찍는 획기적인 기억으로 남을테지만, 힘들고 고통스러워서 '내가 왜 이러고 있나' 생각할 것이 뻔하다. 낯선 환경에서 변비로 고생하는 장면, 불면증과 두통 등 고산병인지 고산병이 아닌지 모를 증상으로 고생하는 모습을 보며 여행 중에 몸이 불편하면 마음도 편안하지 못한 것을 떠올린다. 그래도 시간은 흐르고 그녀들의 여행 일정에 동참하며 책을 읽어나간다.

 

책 중간 중간에 히말라야의 웅장한 자연을 사진으로나마 접할 수 있는 점도 이 책을 읽는 즐거움이었다. 히말라야 환상종주를 계획하고 실천하고 나름의 깨달음을 얻는 부분까지 여행 일정에 맞춰 써나간 글인데,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행 이야기를 쓴 것인데도 이렇게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드는 책이었다. 이 책을 읽으며 작가가 언젠가 또다시 배낭을 꾸릴 듯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여행에 동참한 듯 생생하고 유쾌발랄한 에세이를 읽게 되어 여행하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는 책이다.

어떤 이는 여행에서 평화를 얻는다고 했다. 어떤 이는 삶의 행복을 느끼고, 어떤 이는 사람을 깨닫고, 어떤 이는 자신과 화해하기도 한다. 드물게 피안에 이르는 이도 있다. 나로 말하면 확신 하나를 얻었다. 나를 지치게 한 건 삶이 아니었다. 나는 태생적으로 링을 좋아하는 싸움닭이요, 시끄러운 뻐꾸기였다. 안나푸르나의 대답은 결국 내 본성의 대답이었다. 죽을 때까지, 죽도록 덤벼들겠다는 다짐이었다. 결론적으로 떠나온 나와 돌아갈 나는 다르지 않아싿. 달갑잖은 확신을 얻었고, 힘이 남아돌아 미칠 지경이라는 게 그때와 다를 뿐. 몇 년 후, 어쩌면 몇 달 후, 가까스로 얻은 힘을 전력질주로 써버리고 다시 히말라야를 찾아 올테지. 아니라면 내 손에 장을 지지겠다. (288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5-08-16 2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심장을 쏴라, 영화에서 저 대사 마지막장면에서 인상적이었어요. 그리고 날아가죠. 책, 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