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번째 맞은 광장 집회와 거리 행진이다. 매국 부역 집단이 훔쳐 갔던 태극기를 제자리로 돌려놔야 한다며 일부러 들고 나온 시민이 제법 있었다. 무엇보다 눈길을 끌었건 태극기는 진관사 태극기였다. 나는 처음 보았다. 태극 모양이 특이했다. 무슨 곡절이 있을까? 국가유산청은 이렇게 설명한다.


“‘서울 진관사 태극기’는 2009년 5월 26일 서울시 은평구 진관사 부속건물인 칠성각(七星閣)을 해체·복원하던 중 내부 불단(佛壇) 안쪽 벽체에서 발견된 것으로, 태극기에 보자기처럼 싸인 신문 종류 19점이 함께 발견되었다. 신문 종류는 「경고문」ㆍ『조선독립신문』ㆍ『자유신종보(自由晨鐘報)』ㆍ『신대한(新大韓)』ㆍ『독립신문』 등 5종으로, 1919년 6월 6일부터 12월 25일까지 발행된 사실로 미루어 진관사 소장 태극기 역시 삼일운동이 일어나고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계에서는 태극기를 숨긴 인물로 진관사 승려였던 백초월(白初月) 혹은 그와 밀접한 연관이 있던 승려로 추정하고 있다. 진관사 태극기 가장 큰 특징은 일장기 위에 태극과 4괘의 형상을 먹으로 덧칠해 항일(抗日) 의지를 더없이 크게 했다는 점이다. 특히, 왼쪽 윗부분 끝자락이 불에 타 손상되었고 여러 곳에 구멍이 뚫린 흔적이 있어 삼일운동 당시 혹은 그 이후 현장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현재 1919년에 제작된 태극기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 태극기는 1919년에 제작된 실물이라는 자체만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아울러 진관사 태극기와 함께 발견된 신문 종류에도 태극기와 태극 문양 및 태극기 관련 기사가 실려 있어 더욱 의의가 있다. 특히, 태극과 4괘가 우주 만물 기본 요소나 생성·변화·발전하는 모습을 의미한다는 기존 견해와 달리, ‘힘과 사랑’을 토대로 ‘자유와 평등’을 온 세상에 실현해 나가는 뜻으로 새롭게 해석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처럼 독립신문은 당시 태극기에 대한 인식을 함께 살펴볼 수 있어 ‘진관사 태극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태극기 변천사와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해 준다. ‘진관사 태극기’는 우리나라 사찰에서 최초로 발견된 일제강점기 태극기로, 불교 사찰이 독립운동 배후 근거지나 거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형태상으로도 일장기 위에 태극 청색 부분과 4괘를 모두 흑색 먹물로 덧칠해 항일 독립 의지와 애국심을 강렬하게 표현했으며, 일장기 위에 태극기를 그린 유일하고 가장 오래된 사례라는 점에서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상징 의미가 매우 크다.”
이날 집회는 어느 때보다 많은 시민이 나왔다. 야당 연합 집회가 합류하면서 규모는 더욱 커졌다. 행진은 종로1가 교차로에서 왼쪽으로 돌아 종로를 따라가다가 종로2가 교차로에서 다시 왼쪽으로 돌아서 헌재를 향해 갔다. 더 기운차고 흥겨웠다. 종양일보는 극우 집회를 부풀려 딜레마 운운한다.
윤석열이 “상목아!”라고 부른다는 권한대행은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삼일절 기념사에서 뜬금없이 통합을 말함으로써 특권층 부역자임을 당당히 드러냈다. 저 떼거지는 대한민국 국민이 아니다; 식민지에서 위세 떠는 맛에 사는 삼류 왜놈일 뿐이다. 마침, 드러날 대로 드러났으니 척결해야 한다.
물론 어렵디어렵다. 증거인멸하고 신분 세탁해 감쪽같이 숨기다 못해 되려 애국 자랑질까지 하는 자들이 얼마나 많나. 이번 내란이 내란 세력 모든 배후에 왜놈 제국이 있음을 일깨웠으니 그나마 좀 더 투명해져서 다행이다. 윤석열 파면 반대하는 자라면 그냥 친일 부역자로 보아도 별 무리가 없다.
행진이 끝나고 지하철로 향하면서 문득 지난 대선 때 다시는 거리에 설 일 없도록 냉철하게 투표하자, 트위터 글 올렸던 기억이 떠오른다. 결국은 여기다. 여전히 식민지 상태를 벗어나지 못한 채 모멸을 견디며 살아야 하는 오늘이 광장 떠나 홀로 되면 너무나 아프다. 술 한 병 챙겨 집으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