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위대한 질문 -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위대한 질문
배철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수는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자기혁명은 겨자씨와 같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신의 삶을 통해 상대방이 천국을 느끼지 못한다면 그는 천국을 경험한 자가 아니다.·······

  예수는 유대인 가정에서 매일 먹는 밀가루 빵을 들어 ‘하늘나라’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는 누룩의 비유를 통해 무엇을 의도하는가? 누룩은 겨자씨와 마찬가지로 육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미세하다. 하지만 누룩에 밀가루 반죽이 더해져 시간이 지나면 전체가 부풀어 오른다. ‘하늘나라’를 갈망하는 마음도 인간의 삶에 더해진다면 스스로가 변하듯이 삶 전체가 변화할 것이다.

  이것은 곧 삶 속에서의 ‘자기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혁명은 일상을 비범하게 보고 듣는 연습에서 시작한다. 남다르게 볼 수 있고 남다르게 들을 수 있는 지혜로 숨겨진 보물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예수는 천국은 인간이 볼 수 있는 장소도 아니고 인간이 존재하는 시간도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가운데 있다.”고 말한다.

천국은 죽은 뒤에 가는 곳이 아니라 지금 내가 존재하고 있는 바로 이곳이다. 오늘을 인생의 마지막 날인 것처럼 살며, 가족과 이웃과 심지어 원수까지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면 바로 여기가 천국이다.(321-322쪽)


상담이나 강연을 할 때 가장 많이 마주하는 반응 가운데 하나가 ‘(그 정도는) 이미 알고 있다’입니다. 이 반응에는 두 가지 다그침이 들어 있습니다. 하나는 ‘다 아는 걸 가지고 웬 생색이냐?’고 다른 하나는 ‘그래서 대체 어쩌라는 거냐?’입니다. 이 다그침에는 공통적인 함정이 있습니다. 제대로 아는 것과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같은 말이라는 사실에 대한 무지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 무지를 틈타 온갖 영혼의 수탈자들이 달려듭니다. 수탈자들 가운데 가장 끈질기고 사특한 것이 통속종교입니다.


모든 통속종교는 각기 위대한 스승의 가르침에 젖줄을 대고 있으나 그것을 왜곡한 교집합 에 터 잡습니다. 그들의 왜곡 기법은 스승의 가르침을 박제 혹은 미라로 만드는 것입니다. 동사적 실천 운동에서 명사적 이론 체제로 만드는 것입니다. 동사에서 명사로 이행, 아니 이탈하는 과정에서 증폭되는 것이 저 도저한 문제적 무지입니다. 무지는 모른다는 소극적 사태가 아닙니다. 잘못된 확신에 사로잡혀 있다는 극단의 사태입니다. 이는 명백한 타락입니다. 바로 그리스도교의 천국이 그렇습니다.


예수가 말한 천국은 자신의 삶 전체가 변화하는 “자기혁명”을 통해 이웃이 함께 천국을 느끼게 되는 “여정” 자체입니다. 여기 혹은 저기, 이제 혹은 나중에 존재하는 불변의 실체가 아닙니다. 찰나마다 변화가 일어나는 역동적 과정입니다. 정의와 자비가 형성되는 사건의 파동을 타고 흐르는 숭고와 환희의 일렁임입니다. 오늘 이 땅 어디에서 어떻게 천국은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천국을 말하는 자들은 자기혁명을 통해 이웃과 함께 그 천국을 느끼고 있습니까? 천국을 제대로 알기나 하는 것입니까?


헬 조선이라는 말은 이미 우리사회를 가리키는 ‘공식용어’가 되어버렸습니다. 천국은 우리의 질문 속에나 있으니 그렇다 치고 이 명약관화의 지옥을 살아가는 백성의 태도가 기이하기 그지없습니다. 스톡홀름증후군에 휘말린 눈빛을 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이 상황에서 천국을 입에 담는 것은 아예 미친 짓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그래서 더욱 끈질기게 말해야 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하는’ 어렵디어려운 천국, 결국은 저와 그대의 '말'에 달린 것이 아니겠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