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위대한 질문 -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위대한 질문
배철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수가 말한 진리는 내적인 결심과 그 결심을 인내로써 지키려는 삶의 태도다. 어떤 것이 진리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우리가 도달할 수 없는 절대불변의 어떤 것이 아니라 내가 그것에 대해 갖는 마음가짐이다. 이 마음가짐에서 출발해 자신의 삶을 서서히 바꾸고, 그릇된 길에서 벗어나 바른 길로 들어서고, 삶의 우선순위를 정해 그것을 지키려 하는 태도와 같은 것이다.(이 문장에서 비문의 요인이 된 원문 일부분을 인용자가 수정함.) 진리는 우리가 볼 수 없는 피안의 세계에 존재하면서 우리를 지켜보는 초월주가 아니라, 인간의 삶에 개입해 우리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고 그것을 통해 세상을 바꾸는 역동적 과정으로서 ‘믿음’이다.

  그래서 예수는 “나는 진리, 즉 인간 안에 씨앗으로 존재하는 신의 형상이 싹을 내고 꽃을 피우고 심지어는 커다란 나무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을 세상에 전파하기 위해서 왔습니다.(이 문장에서 비문의 요인이 된 원문 일부분을 인용자가 수정함.) 나는 그것을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 것이다.(191-192쪽)


‘언제나 누구에게나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보편적인 법칙이나 사실 또는 그 인식 내용.’ 이 통속한 명사적 진리관은 로마인 총독 빌라도의 것입니다. 진리眞理를 글자의 본디 뜻을 헤아려 동사 문장으로 구성하면 ‘바른 삶의 길을 옥의 원석 속에 숨어 있는 고운 결을 갈아내듯 다듬어 간다.’입니다. 간단히 줄이면 ‘바르게 다듬다’ 정도의 구문이 됩니다. 이 동사적 진리관은 유대인 죄수 예수의 것입니다. 사실 여태껏 우리 대부분이 알아온 진리는 빌라도의 진리가 아니던가요? 심지어 기독교인조차도 그렇지 않은가요?


예수는 진리를 위해, 조금 더 정확히 말하면 진리 함으로doing truth, 아주 정확히 말하면 진리true(이는 바르게 수행하다는 동사)로 죽습니다. 우리 대부분, 더욱 기독교인은 돈을 위해 ‘죽기로 살’지 않습니까? 예수는 진리와 동의어입니다. 우리 대부분, 특히 기독교인은 돈과 동의어입니다. 돈이 진리를 대체한 세상에서 여전히 ‘성경책’을 끼고 교회 들락거리는 행위는 예수를 모독하는 짓입니다. ‘성경책’은 더 이상 성서가 아닙니다. 예수를 증언하지 않는 껍데기 글씨의 집합일 뿐입니다. 어찌하면 여기서 벗어날까요?


‘성경책’을 버려야 합니다. 성서를 들어야 합니다. 교회를 헐어버려야 합니다. 진리로 살아야 합니다. 각자 예수가 되는 것이야말로 저 예수의 죽음을 오늘에 되살리는 일입니다. 이 진부한 진실을 2천년 동안 백안시해온 기독교는 결국 하느님의 것을 빼돌려 카이사르에게 주고 말았습니다. 카이사르는 자본과 신자유의 군대를 거느리고 지성소를 침탈했습니다. 카이사르가 보낸 총독 빌라도가 오늘 다시 와서 묻습니다. “무엇이 진리인가?” 당신은 예수로서 답할 것입니까, 아니면 예수를 모독하는 자로서 답할 것입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