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위대한 질문 -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위대한 질문
배철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서는 상대방의 마음을 깊이 묵상하고 상상함으로써 상대방과 내가 하나 되는 순간에 일어나는 신비다. 자신이 경험한 세계가 유일한 세계가 아니라는 깨달음에서 용서의 긴 여정이 시작된다.(88쪽)·······

  <누가복음>의 ‘탕자 비유’는 사실 큰아들에 대한 경고다. 그는 다른 사람들의 기쁨에 동참하지 못하는 인간, 자신이 쌓아놓은 이기심이라는 제단에서 희생된 인간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우리 스스로 가장 거룩하고 가치 있다고 여기는 그 이데올로기, 그 신념, 그 원칙이라는 제단을 부수고 우리의 가까운 가족, 친족, 심지어는 원수까지도 용서하는 마음이다.(105쪽)


상대방의 마음을 깊이 묵상하고 상상함으로써 상대방과 내가 하나 되는” 일이 가능할까요? 그렇다면 용서는 결코 “신비”가 아닙니다. 상대방의 마음을 깊이 묵상하고 상상함으로써는 상대방과 내가 하나 될 수 없다는 진실을 있는 그대로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일 때에만 용서는 신비입니다. 상대방의 마음을 깊이 묵상하고 상상함으로써 상대방과 내가 하나 되는 일이 일어나면 그것을 구태여 용서라고 이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용서란 서로 다른 삶 상호간에 일어나는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용서가 용서인 것은 아무리 깊이 묵상하고 상상해도 상대방의 마음과 하나 될 수 없지만, 아니 없어서 상대방의 그 통약 불가능한 마음을 차마 부정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상대방의 마음만이 지닌 곡절을 곡진히 그 자리에 모실 때, 용서는 신비입니다.


자신이 경험한 세계가 유일한 세계가 아니라는 깨달음”은 그래서 상대방의 경험 세계에 가 닿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까요? 그렇다면 거기서 “용서의 긴 여정이 시작”될 일은 없을 것입니다. 자신이 경험한 세계가 유일한 세계가 아니라는 깨달음은 오히려 상대방의 경험 세계에 가 닿을 수 없다는 사실과 마주할 때 일어나는 통렬한 감각입니다. 용서가 용서인 것은 자신이 경험한 세계가 유일한 세계가 아니라는 어떤 깨달음으로도 상대방의 경험 세계에 가 닿을 수 없지만, 아니 없어서 상대방의 그 통약 불가능한 경험 세계를 차마 부정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상대방의 경험 세계만이 지닌 곡절을 곡진히 그 자리에 모실 때, 용서는 그 긴 여정을 시작합니다.


용서를 위대한 가치로 꼽는 것은 그 내용 자체보다도 평범한 인간에게는 실천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실천이 어려운 것은 용서를 문제 삼아온 장구한 세월 동안 인간 정신이 병을 앓아왔기 때문입니다. 스티브 테일러는 그의 역작 『자아 폭발』에서 이를 타락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그에 따르자면 성서는 타락 초월 운동의 한 국면에서 나타난 것입니다. 인간 정신의 병리 상태, 그 타락상을 쉽게 생각하면 안 됩니다. 배철현의 탁월한 두 저작 전반을 통해 가장 낮은 지대를 흐르는 뉘앙스 가운데 하나는 바로 인간 정신의 병리적 현실에 들이대는 칼날에서 나옵니다. 그의 학문과 삶의 기조가 반영된 것일 터이니 비판한다기보다 임상 현실에 서 있는 저로서는 이런 장면을 마주할 때 오래 멈추어 서서 곰곰 생각에 잠길 수밖에 없다는 점을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기독교인이 어찌 오독을 하건 저자는 분명히 <탕자의 비유>를 큰 아들에 대한 경고라고 못 박았습니다. 오늘 여기서 큰아들은 과연 누굴까요? 저는 저자처럼 “무한경쟁에서 살아남은 가장 성공한 인물”(104쪽)인데 “우리와 매우 닮아 있다”(105쪽)고 뭉뚱그리고 싶지 않습니다.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로 무장한 타락의 시스템이 1%의 ‘무한경쟁에서 살아남은 가장 성공한 인물’들로 하여금 99%의 기쁨을 극단적으로 수탈하게 하고 있는 현실에서 어떻게 그들은 우리와 매우 닮아 있다 하고 넘어갈까요. 매판독재의 적자로 태어나 권력과 돈을 깔고 앉아 세월호사건을 일으키고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를 10언 엔에 팔아넘긴 자들과 매우 닮아 있는 우리에게 스스로의 제단을 부수고 원수까지 용서하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