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32장 본문입니다.
唯天下至誠 爲能經綸 天下之大經 立天下之大本 知天地之化育.
유천하지성 위능경륜 천하지대경 입천하지대본 지천지지화육.
夫焉有所倚.
부언유소의.
肫肫其仁 淵淵其淵 浩浩其天 苟不固聰明聖知達天德者 其孰能知之.
순순기인 연연기연 호호기천 구불고총명성지달천덕야 기수능지지.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스러움만이 천하의 큰일을 경륜할 수 있으며 천하의 큰 근본을 세울 수 있으며 천지의 화육을 주관한다. 대저 어디에 의지하는/치우치는 바가 있겠는가. 정성스러워 어짐 그 자체이고 깊고 깊어 못 그 자체이며 넓고 넓어 하늘 그 자체로다. 진실로 본래 총명예지하여 하늘 덕德에 도달한 자 아니면 누가 그를 알 수 있겠는가.
2. 이상적 차원에서 본 성誠, 즉 중용의 실천은 온 세상의 흐름을 이끌어[경륜經綸], 바르게 방향 짓고[입立], 새롭게 빚어[화육化育] 갑니다. 따라서 그것은 치우침[의倚]이 있을 수 없습니다. 정확히 가운데란 뜻이 아닙니다. 본디 가야 할 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사랑으로 가득차고[인仁] 사려 깊으며[연淵] 너그러운[호浩] 삶이 바로 그런 실천입니다.
이렇게 세상 돌아가는 이치에 투명하게 열려 있지[달천덕達天德] 않으면 중용을 알아차릴 수 없습니다[기수능지지其孰能知之]. 자기반성이 생략된 특정 이데올로기, 신조, 학문적 이론, 심지어 유아적 편견에 입각하여 자기중심으로 세상을 강제하려 하는 사람은 처음부터 중용할 생각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러면 어찌 해야 전체성을 향해 투명하게 열려 있을 수 있을까요? 답은 너무나도 당연한 것으로 『중용』이 수도 없이 반복해서 말하고 있는 ‘평등한 쌍방향 소통’ 그 하나입니다. 평등한 쌍방향 소통을 하려면 자기중심을 버려야 합니다. 중심을 버려 가장자리, 아니 자기 경계선 밖의 어둠과 혼란으로 걸어 나와야 비로소 또 그렇게 걸어 나온 생명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
나도 너도 기존 문명이 제공해준 권력과 오만과 독선을 내려놓아야 서로를 향해 열려 있는 심장, 그 붉고 뜨거운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는 권모술수도 위세도 손익계산도 끼어들 수 없습니다. 오직 서로를 버려 벌거숭이가 된 자연 생명, 그 단도직입의 마주함만이 있을 뿐입니다.
네 것도 아니고 내 것도 아닌, 새로이 빚어지는[화육化育] 우. 리. 의 가치를 창조하는 영원한 실천, 동사動詞의 시공간이 바로 중용입니다. 그러므로 중용은 개인의 품성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중용은 전제된 실체, 명사名詞의 시공간이 아닙니다. 중용은 온 생명의 집단적이고도 공동체적인 실천입니다. 그 집단, 그 공동체 또한 늘 이루어져 가는 과정일 뿐입니다.
이 과정에 간절함으로 참여하는 것이 지극한 경지에 이르는 길입니다. ‘함께’ ‘몸으로’ 하는 명상/참선이 진정한 명상/참선입니다.
3. 매판적 본질을 지닌 현 지배집단은 독선으로 가득 차있습니다. 그 독선은 오직 하나의 표적만 봅니다. 돈! 돈 말고는 다른 게 보이지 않습니다. 나라를 팔아먹는 행위도, 국민을 죽이는 행위도 돈만 된다면 옳게 여깁니다. 진실의 전체성은 당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진실은 그들에게 음모와 술수의 계기일 따름입니다. 덮고 비틀고 뒤집고 조작하고·······. 전천후 협잡으로 투명함의 덕을 모독합니다. 세월호는 이렇게 다시 한 번 침몰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다시 한 번 살해당하고 있습니다.
저들의 사악하고 집요한 분탕질을 보며 문득 떠오른 말이 있습니다.
“천지가 만물을 낳고 성인이 만사에 응하는 이치는 오직 단.도.직.입 한 마디 뿐이다天地生萬物聖人應萬事惟一直字而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