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1장 본문입니다.

 

自誠明 謂之性 自明誠 謂之敎. 誠則明矣 明則誠矣.

자성명 위지성 자명성 위지교. 성즉명의 명즉성의.


정성스러움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것을 성性의 작용이라 하고 밝음으로 말미암아 정성스러워지는 것을 교敎의 효과라 한다. 정성스러우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정성스러워진다.

 

2. 치열한 실천을 통해 이치를 깨닫게 되는 것은 생명의 타고난 본디 작용, 곧 성性입니다. 이치를 깨우쳐서 적확하게 실천하는 것은 교敎의 결과입니다. 하지만 둘은 결국 하나입니다. 실천할수록 명쾌하게 깨달아지고 꿰뚫어 알수록 옹골차게 실천하는 법입니다. 인식과 실천은 둘이면서 하나요, 하나이면서 둘입니다. 아주 진부한 말이지만 한 순간이라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진실입니다.  

 

전통적인 해석이 성誠을 한사코 ‘정성스러움’, ‘성실함’으로 파악함으로써 내적 자세 정도로 묶어두는 흐름이 굳어졌습니다만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우리는 성을 철저히 동사적 의미로 읽습니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실천이라는 뜻입니다. 물론 정성스러움, 성실함의 의미가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런 내포를 넘어 적확하고, 어김없는 실천의 뜻까지도 담아내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입니다.

 

명明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밝음’이라 하든 ‘밝아진다.’라고 하든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측면이 드러나지 않는 해석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명은 선택과 결단에 의거한 인식 추구 행위입니다. 따라서 억압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그 어둠을 뚫고 올바른 인식을 지니는 것 자체가 이미 실천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인식은 쉽고 실천이 어렵다고 말합니다. 허나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억압이 합리화된 사회일수록 인식의 전환이 훨씬 더 어렵습니다. 한 때 반독재 투쟁에서 전설적 실천가였던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의 환원을 통해 스러져 갔는지 우리는 수없이 목도한 바 있습니다. 올바른 인식은 그 자체로 벡터적 동력을 지니는 법입니다. 그들이 변절했다는 것은 그들의 인식이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렀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세상이 바뀌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자기도 바꿨다고 말합니다. 그 말이 얼마나 우스운 것인지는 그렇게 말하는 자들이 지금 만들고 있는 우리사회의 모습을 보면 너무나도 확연하게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의 인식은 처음 것도 나중 것도 투철함에서든 방향 잡음에서든 관철함에서든 제대로 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어둠을 뚫고 올바른 인식에 다다른 명을 이를테면 ‘시명始明’이라 할 때 성의 차원을 온전히 획득한 명을 이를테면 ‘본명本明’이라 한다면 그것이 곧 인식과 실천의 일치입니다. 여기서 명은 성의 또 다른 이름이 됩니다. 한결같은 실천 안에서 명은 명이자 성인 것입니다.


한편, 제 방향을 잡은 인식, 그러니까 명 안에서 성은 제대로 된 성입니다. 방향 없는, 서사敍事 없는, 기승전결 없는 성은 성이 아닙니다. 성에는 감동이 있습니다. 경이로움이 있습니다. 장엄을 향한 숭고함이 있습니다. 이 속에서 성은 명의 또 다른 이름이 되는 것입니다.

 

3. 우리사회 지배집단은 선거철만 되면 ‘민심이 천심天心’이란 사탕발림을 해댑니다. 선거가 끝나자마자 곧 바로 ‘민심은 천심賤心’으로 떨어뜨려집니다. 이것이 바로 소인배의 인식이며 실천입니다. 국민을 천한 아랫것으로 인식하므로 그 국민을 향한 소인배의 실천은 시혜로 위장한 착취와 의도된 무능 두 가지로 나타납니다. 전자는 하지 말아야 할 짓을 서슴없이 하는 것입니다. 후자는 당연히 해야 할 일을 고의로 하지 않는 것입니다.


세월호사건, 이것은 단군 이래 최고의 의도된 무능, 그러니까 부작위不作爲 전능이었습니다. 몰라서 못 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우왕좌왕하다가 사고 수습을 그르친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미 다 알면서 냉철하게 계산하고 일부러 하지 않은 것입니다. 진실을 다 밝힌다면 모름지기 이 정권이 처음부터 기획하고 조작하고 은폐했다는 것이, 그러니까 무능을 가장한 전지전능이었음이 드러날는지도 모릅니다. 저들이 사건 이후 일관되게 보여주는 대응은 이를 웅변으로 증명하고 있습니다. 의도적으로 잘못된 인식에 터하여 실천을 하지 않는 것이든 잘못된 인식에 딱 맞는 잘못된 실천을 하는 것이든 저들은 저들답게 저들이 할 짓을 하고 있습니다. 반중용 말입니다.



문제는 중용을, 명을, 성을 부둥켜안고 있는 사람들 곁을 차마 떠날 수 없어 주위에서 서성대는 사람들입니다. 권력이 하는 짓을 다 알면서도 두려운 나머지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발만 동동 구르는 사람들입니다. 자기 자신의 일처럼 가슴 치고 눈물 흘리면서도 말 한 마디 할 수 없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이 가슴에 품은 실천이 언제 어떻게 몸으로 나타날는지 알 수 없습니다. 지금 그들에게, 그들을 위해 고요히 낮은 음성으로 기도를 시작합니다. 어둠 속에서 살며시 손을 내밀어 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현담 2016-07-05 04: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bari_che 2016-07-05 13:22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