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0장 여섯 번째 본문입니다.
在下位不獲乎上 民不可得而治矣.
재하위불획호상 민불가득이치의.
獲乎上有道 不信乎朋友 不獲乎上矣.
획호상유도 불신호붕우 불획호상의.
信乎朋友有道 不順乎 親不信乎朋友矣.
신호붕우유도 불순호 친불신호붕우의.
順乎親有道 反諸身不誠 不順乎親矣.
순호친유도 반제신불성 불순호친의.
誠身有道 不明乎善 不誠乎身矣.
성신유도 불명호선 불성호신의.
아랫자리에 있으면서 윗사람에게 신임을 얻지 못하면 백성의 신임을 얻어서 다스릴 수 없다. 윗사람에게 신임을 얻는 데에는 방법이 있으니 친구들에게 신임을 얻지 못하면 윗사람에게 신용을 얻지 못한다. 친구에게 신임을 얻는 데에도 방법이 있으니 어버이(의 뜻)에 따르지 않으면 친구에게 신임을 얻지 못한다. 어버이(의 뜻)에 따르는 데에도 방법이 있으니 자기 몸을 돌이켜 보아 성실하지 않으면 어버이(의 뜻)에 따르게 되지 않는 것이다. 몸을 성실하게 하는 데에도 방법이 있으니 선善에 밝지 않으면 몸에서 성실하게 되지 않는다.
2. 네 번째 문단에서 최상위 정치인에게 길게 다스림의 원칙을 설파한 데 이어 여기서는 백성과 직접 맞닥뜨리는 현장 관료에게 행정 원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윗사람, 친구, 부모로 이어지는 인간관계의 연결고리를 통해 결국 자기 자신의 문제로 돌아옵니다. 이런 패턴은 제20장 전반全般에서 되풀이 되고 있습니다.
실천 주체인 자기 자신을 성찰, 곧 반反하여 적확하지 못하면[불성不誠], 즉 어긋남이 있으면, 벗어나 흐르면 모든 인간관계에 파행이 오게 되고 결국 올바른 행정은 펼쳐지지 않습니다. 관료의 행정적 실천이라는 것도 본질적으로 인간관계의 지평을 떠날 수 없는 것이고, 그 인간관계의 고갱이에는 늘 자기 성찰이 자리하는 법입니다.
3. 자기 성찰의 기준은 선善에 밝은가, 아닌가, 입니다. 선은 무엇입니까? 군더더기가 필요하지 않지요, 그대로 중용입니다. 선으로 표현되는 사적 실천이야말로 중용으로 표현되는 공적 실천의 뿌리요, 동력이요, 증거입니다. 사적 부도덕성에 눈감은 채 공적 도덕 성을 입에 담는 것은 사기요 협잡입니다.
흔히 공과 사를 구분해야 한다는 말들을 합니다. 허나 그 말은 여기에 쓸 게 아닙니다. 공적인 일을 사적인 이득을 위해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쓰는 상식적 경계입니다. 지금 우리 사회 현실은 이 문제에서 오류를 범함으로써 막대한 비용을 치르고 있습니다.
실천적 차원에서 사적 투명성과 공적 아우라Aura의 일치는 불퇴전의 원칙입니다. 제 자식 사립학교 보내려고 위장 전입한 바로 그 사람이 국민 건강 내팽개치고 돈 놀음 굴종 협상을 하는 것입니다. 천하에 이보다 명쾌한 진실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럼에도 여전히 그 사기/협잡꾼들은 자신들을 선하다고 합니다. 아, 물론 독선獨善이지요. 그들의 독선은 어떤 근거를 지니고 있을까요?
최근 전임 국무총리 한 사람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두하면서 말했습니다. “진실은 승리할 것이다.” 바로 이런 자기기만이 독선의 본진입니다. 자기기만은 의도적 무지에 터하고 있습니다. 의도적 무지는 자신의 이익 이외에는 생각하지 않기로 결단한 영혼의 의지에 따른 것입니다. 저들의 영혼은 수탈과 동의어입니다. 수탈은 이 땅의 지배세력이 1400년에 걸쳐 유전시켜온 매판독재반통일의 DNA입니다. 매판독재반통일 전략으로 잡은 패권, 그것이 바로 독선의 요새입니다.
4. 대한민국 TV드라마에 나오는 악인의 엄마는 파멸 앞에서, 예외 없이 이렇게 말합니다. “다 너 잘되라고 그랬다.” 이처럼 그악한 탐욕의 말은 다시없습니다. 이처럼 자기성찰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단세포의 말은 다시없습니다. 대체 잘되는 게 뭘까요? 적어도 의로움은 아닙니다. 적어도 진실함은 아닙니다. 적어도 아름다움은 아닙니다. 적어도 거룩함은 아닙니다. 착함, 그러니까 선에 밝음[명호선明乎善]은 더더욱 아닙니다.
이렇게 풀면 답이 간단하게 나옵니다. 실제로 그런 뜻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다 너만 잘되라고 그랬다.” 그렇습니다. 내 자식만 잘되면 끝이라는 생각에 무슨 가치와 의미를 전제한 해석이 필요하겠습니까. 너만 돈 많이 벌고 권력 누리고 살다 천당 가면 된다, 딱 이 정도면 족합니다. 세월호사건 이젠 그만해라, 멀미난다는 말에 깃든 생각도 여지없이 딱 이 정도입니다. 이것이 바로 선에 어두움[암호선暗乎善]입니다. 긴 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스스로 물어보면 됩니다.
“나만 잘되면 되나, 나한테 떳떳해야 하지 않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