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증언 -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를 통해 생각하는 질병의 윤리학 카이로스총서 26
아서 프랭크 지음, 최은경 옮김 / 갈무리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고통의·······사회적 본질·······고통은·······존재론적이고 보편적인 인간 조건이면서 동시에 서로 다른 지역적 세계들에서·······문화적 구체화-‘정교’로 번역된 것을 문맥을 고려하여 인용자가 바꿈-를 거친, 실천적이고, 그러므로 고유한-‘진기한’으로 번역된 것을 문맥을 고려하여 인용자가 바꿈- 경험의 형태다.(319쪽)


일반적으로 사회란 말은 개인의 상대어, 즉 개체에 대한 전체 개념으로 씁니다. 이 문맥에서는 오히려 보편에 대한 특수 개념으로 쓰였습니다. 그러나 이 문맥의 인간이 특별한 개인이 아닌 보편 인간이므로 사회는 결국 각기 고유한 지역의 세계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특수성과 전체성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보편 인간에게 고통은 “존재론적·······조건”입니다. 태어나 자라고 늙다가 죽는 모든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겪는 인간적 고통은 남녀, 인종, 문화, 빈부에 따른 근본적 차이가 없습니다. 하여 고통은 천명이고, 천명은 저항이고, 저항은 숭고라고 바로 앞에서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이 숭고는 모든 개체 인간에게서 패배로 마감됩니다. 패배하는 개체 인간은 울면서 서로 얼싸안습니다. 울면서 얼싸안은 개체 인간들 경계에 웃음꽃이 피어납니다. 울음과 웃음이 어우러진 전체 인간, 그러니까 공동체로서 인간만이 숭고의 패배를 넘어설 수 있습니다.


숭고의 패배를 넘어서기 위해 얼싸안는 일, 그러니까 사회적 실천이 일어나야 하는 공동체는 각기 다른 “문화적 구체화를 거친, 실천적이고, 그러므로 고유한 경험”으로서 고통의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국가의 형태로 공식화된 고유한 단위 사회는 각기 특수한 정치적 지형을 따라 다양한 고통을 노정시킵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매판독재분단세력이 정치·경제·학문·교육·종교·문화·예술 각 분야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기 때문에 자주민주통일 지향의 시민이 겪는 고통을 고유하게 지니고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 그러니까 장준하·박종철·문익환이 겪은, 그러니까 위안부 할머니들·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세월호사건 유족이 겪고 있는, 그러니까 저와 그대가 겪어야 할 고통의 “사회적 본질”입니다. 공동체적 본질입니다.


모든 분야에서 이 문제는 치명적 중대성과 혁명적 시급성을 띠고 있습니다. 역사 교과서 획일화 문제가 현안인 상황에 맞게 교육 문제에 집중해보겠습니다. 지난 11월 27일 이 리뷰44 <고통의 양육: 양육프레임>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항을 말씀드린 바, 매판독재분단세력이 사학을 장악하고 있다는 사실은 실로 참담한 일입니다. 이들은 식민지와 독재 권력에 부역하여 벌어들인 돈으로 학교를 세우거나 인수하였습니다. 사립중고등학교로는 대표적인 예가 김문희(김무성 누나)의 용문학원, 나채성(나경원 아버지)의 홍신학원, 김석원의 성남학원, 민덕기의 풍문학원 등입니다. 대학으로는 방일영 일가의 연세대학교, 김성수 일가의 고려 대학교, 이병철 일가의 성균관대학교, 조영식 일가의 경희대학교 등입니다. 일제 마지막 총독 아베 노부유키가 예언했듯 식민교육의 노예화를 그 부역집단이 알아서 치밀하고 광범위하게 진행해왔던 것입니다. 이들이 우리 공교육을 깡그리 무너뜨렸습니다.


저도 이런 치욕스런 상황에서 교육 받았습니다. 제 딸도 그러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 동일한 치욕 아래 놓여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사회의 교육적 고통입니다. 교육은 다만 사회의 비교적 주변부에 위치한 한 부문이 아닙니다. 교육은 사회의 근본 성격과 방향을 결정하는 관건적 부문입니다. 매판독재분단세력이 신문과 방송을 장악한 것도 거기에 교육적 속성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교육이 저들의 지배체제를 영속화하기 위한 도구로만 존재하는 한, 이 사회는 더 이상 공동체가 아닙니다. 국가는 오직 저들의 사익추구를 위한 기업에 지나지 않습니다. 깨닫지 못한 부모가 죽을힘을 다해 아이들을 교육시키는 것은 저들의 수탈에 자발적으로 공범이자 피해자 노릇을 하는 것입니다. 이제 여기서 저는 무엇을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이제 여기서 그대는 무엇을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저 혼자, 그대 혼자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겠습니까. 저와 그대가 손을 잡지 않으면 그 무엇도 어떻게도 할 수 있는 일이 없지 않습니까. 고통이 클수록 손을 굳게 잡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고통은 사회적 실천입니다. 사회적 실천으로야 패배를 건너갑니다. 이 순간도 아이들은 죽어가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