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증언 -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를 통해 생각하는 질병의 윤리학 카이로스총서 26
아서 프랭크 지음, 최은경 옮김 / 갈무리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야기와 함께 사고하는 것의·······교훈은 일단 이야기를 하고 나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 이야기에서 계속 살아가는 것, 그 안에서 생성되는 것, 생성되는 자신에 대해 성찰하는 것, 그리고 그 이야기를 점차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다.(302쪽)


직선적 시간관을 지닌 서구 통념으로 보면 이야기를 통한 상담치료는 “이야기를 하고 나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맞습니다. 그들이 상담을 단계로 나누어 평가하면서 종말론적 결과를 향해 전진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습니다. 전진은 이야기에 담긴 상처를 과거의 것으로 퇴출시키고자 하는 기계주의 의도의 소산입니다. 오로지 투명한 오늘에 집중하여 밝은 미래를 열기 위한 긍정주의 전략의 결과물입니다.


이야기의 시간을 그렇게 흐르도록 조작해서는 안 됩니다. 이야기한 아픈 사람은 “그 이야기에서 계속 살아가는 것”에 머물러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 머무름으로 상처는 발효됩니다. 발효는 아픈 사람이 새로이 “그 안에서 생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야기 안에서 새로이 “생성되는 자신에 대해 성찰하는 것”은 그 이야기 안에 또 다른 이야기를 엮어 넣는 것입니다. 성찰의 이야기를 엮어 넣는 것은 “그 이야기를 점차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입니다. 이 변화가 치유이며 성장입니다. 치유와 성장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닙니다. 이야기에서 계속 살면서 그 이야기 내용을 바꾸는 것입니다.


고통스러운 이야기 속에 머무르는 동안 상처가 발효될 때 나는 열기와 냄새 때문에 고통이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깊은 맛을 내는 삶을 살기 위해 넘겨야 할 고비입니다. 한창 고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젊은 여성이 답답함을 호소해왔습니다. 이렇게 말해주었습니다.


“지금 견디지 못하고 뚜껑을 열어버리면 발효는 중단되고 부패가 시작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