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증언 -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를 통해 생각하는 질병의 윤리학 카이로스총서 26
아서 프랭크 지음, 최은경 옮김 / 갈무리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고통의 교육학”은 아픈 사람들이 사회에 가르침을 줘야 한다는·······표현이다.

  고통을 교육학으로 인식함으로써, 아픈 사람들은 행위성을 되찾는다. 증언은 전문지식과 동일한 지위를 부여받는다.(279쪽)


한의사‘임에도’ 상담으로 마음치료를 해오는 동안 양의사였더라면 현실적으로 가능해보이지 않는 축복을 받은 것이 있습니다. 제게 치료 받은 이들 가운데 저를 아버지라고 부르는 사람이 여럿 생겼다는 사실입니다. 그들이 어떤 깊이로 저를 아버지라고 부르는지 그 속마음까지는 가늠할 수 없습니다. 다만 여기서 분명하게 깨달은 바가 있습니다. 마음치료라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양육이라는 사실입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양육은 다만 어린아이를 잘 자라도록 기르고 보살피는 좁은 의미의 그것이 아닙니다. 성숙한 삶에 필요한 감각과 지식을 가르치고 덕성을 함양하는 교육의 의미를 포함합니다. 이를테면 국鞠養敎育의 준말인 셈입니다. 양육은 그러므로 개인으로서 인간의 인간다움은 물론 사회로서 인간의 공동체적 존립에 없어서는 안 되는 가장 보편적이며 핵심적인 행위이자 그 체계인 것입니다.


인간의 보편적이며 핵심적인 행위이자 그 체계로서 양육의 성숙한 근간이 바로 “고통의 교육학”입니다. “아픈 사람들이 사회에 가르침을 줘야 한다는” 진실입니다. 한 개인의 인간성과 사회의 공동체성을 구성하는 근본적 콘텐츠는 고통에서 나옵니다. 고통이 깨달음의 거처입니다. 고통이 깨달음이라는 열매를 맺으려면 “증언”을 필요로 합니다. 증언은 증언하는 개인과 듣는 사회를 함께 일깨웁니다.


고통을 교육학으로 인식함으로써, 아픈 사람들은 행위성을 되찾는”다는 사실, 여기에는 참으로 중차대한 의미가 있습니다. 아픈 사람들이 행위성을 되찾는다는 것은 고통의 식민지성을 타파한다는 것입니다. 의료와 정치의 내러티브가 고통당한 사람들에게서 그 목소리를 약탈해온 것에 대한 통렬한 인식을 전제해야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인식의 전환이 행위를 탈환합니다. 바로 이 지점이 문제입니다.


인식의 전환을 막기 위해, 오늘 여기 대한민국 통치 집단은 고통의 교육학, 그 존재 자체의 은폐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고통을 가한 자들의 내러티브만을 가르치겠다며 차벽을 치고 있습니다. 국사교과서를 매판독재사관으로 획일화하는 것은 다만 국사, 다만 교과서 문제가 아닙니다. 교육, 근본적으로 양육이라는 사회 핵심 체계 전체를 왜곡 장악한다는 것입니다. 실로 무서운 반역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우리사회의 양육 체계는 이미 최악의 수준입니다. 돈 하나로 값이 매겨지는 상품-인간을 생산하는 기업구조로만 작동하고 있습니다. 이런 파괴의 선두에는 역시 매판 노론과 식민지 신흥부역집단이 서 있습니다. 이들이 사학을 장악하여 국민의 혈세를 빨아먹고 아이들을 자신들의 노예로 사육하고 있습니다. 그 범죄의 성을 난공불락의 요새로 만들겠다고 일으킨 것이 국정화정변입니다.


가공할 노림수가 하나 또 남아 있습니다. 정치, 아니 국가 전체를 양육프레임에 가두겠다는 것입니다. 어른이 아이를, 선생이 제자를 다루는, 그것도 식민지 방식으로 통치가 진행되는 것을 우리는 이미 목도하고 있습니다. 입만 열면 훈계와 질책뿐인 높으신 분에게 우리는 이미 길들여지고 있습니다. 최후의 살 떨리는 노림수가 헛것처럼 스칩니다. 그 양육프레임의 중심에 황군훈육프레임이 놓이는, 그런.


조금 전, 저를 ‘아부지’라고 부르는 젊은 여성이 선물을 편지와 함께 택배로 보내왔습니다. 편지 마지막 구절 일부입니다. “아부지~·······여기까지 올 수 있게 많이 보살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별로 해준 것이 없습니다. 많이 보살펴주셔서 감사하다는 표현에 도리어 눈시울이 뜨거워집니다. 많이 보살펴주셔서 감사하다는 인사를 건넬 수 있는 참 양육의 통치자를 만날 날이 온다면 얼마나 행복할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