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증언 -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를 통해 생각하는 질병의 윤리학 카이로스총서 26
아서 프랭크 지음, 최은경 옮김 / 갈무리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그 때는 너무 화가 나서 말을 할 수 없었다.”·······여기서 중요한 단어는 그 때는 이다. 인간의 약함은 그와 같은 그 때는 이다. 분노했을 때·······, 목소리는 실패할 수 있다.·······윤리적 행동은··············그러한 실패를 회상하고자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그 실패를 제공하면서 어떻게 했어야 했는지를 보여주고자 하는 데 있다.·······이야기 속에서 분명하게 말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말하게 위해·······분노를 사용한다.·······발견한 목소리는 기억에 대한·······책임을 충족시킨다.(255-256쪽)


후회는 아무리 빨라도 늦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맞습니다. 그러니 후회 없는 삶을 살자, 하는 말이 이 맞는 말에 대한 맞는 응답일까요? 아닙니다. 후회라는 말은 오목한 표현입니다. 그러면 볼록한 표현은 무엇일까요? 깨달음입니다. 후회 없는 삶은 깨달음 없는 삶입니다. 깨달음 없는 삶은 인간의 삶이 아닙니다.


그 때는” 깨닫지 못합니다. “그러한 실패를 회상하고”서야 “어떻게 했어야 했는지를이제는 깨닫습니다. “인간의 약함은 그와 같은 그 때는”입니다. 인간의 강함은 타인에게 “그 실패를 제공하면서” 함께 공동체를 빚어 나아갈 ‘이제는’ 입니다. 공동체를 “발견한 목소리는 기억에 대한·······책임을 충족”시킵니다.


‘그 때는’ ‘이제는’ 사이가 너무 멀면 마음병을 얻습니다. 생각마다 행동마다 후회만 후렴처럼 따라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깨달음이 미루어진 이런 후회들은 자책감의 우물로 빠져 들어갑니다. 자책감의 우물 바닥에는 자기부정이란 괴물이 똬리 틀고 있습니다. 자기부정의 괴물에 잡아먹힌 것이 바로 우울증입니다.


우울증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공동체 전체의 문제입니다. 대한민국의 ‘그 때는’ ‘이제는’ 사이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그 때는 실패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는 어떻게 했어야 했는지 깨닫고 성공의 길로 나아가야 하는데 깨달음이 계속 미루어지고만 있습니다. 공동체 전체가 우울증을 앓고 있습니다.


더 미룰 수는 없습니다. 또 다시 어떤 식민지를 겪어야만 깨달을 것입니까? 또 다시 어떤 매판독재를 겪어야만 깨달을 것입니까? 또 다시 어떤 부정선거를 겪어야만 깨달을 것입니까? 또 다시 어떤 제노사이드를 겪어야만 깨달을 것입니까? 또 다시 어떤 역사 쿠데타를 겪어야만 깨달을 것입니까? 이럴 수는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