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증언 -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를 통해 생각하는 질병의 윤리학 카이로스총서 26
아서 프랭크 지음, 최은경 옮김 / 갈무리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되찾기reclaiming·······그것의 정치적 차원·······.(144쪽)

·······되찾기는 질병 이야기가 중단을 통해 발화하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그것은 아픈 사람이 목소리를 빼앗겼다는 것을 말해준다.(141쪽)

·······의학·······하나의 이데올로기적 체계·······이 체계는 환자에게 특정한 정체성, 즉 의학이 환자를 위해 유지하는 정체성이 될 것을 “강요”-요청으로 번역된 것을 인용자가 문맥을 고려하여 바꿈-한다. 진단은 이러한 정체성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다. 의학의 이데올로기적 작업은 환자가 이 진단적 정체성을 적절하고 도덕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게 만드는 것이다. 환자가 이 정체성을 받아들일 때, 그/그녀는 자기 자신을 권력 관계에서 종속적인 위치로 배열하는 것이다.·······되찾기는·······대항 텍스트적 현실이다.(145쪽)


정치적 약자는 생물학적 약자입니다. 생물학적 약자는 병들기 쉬운 생명체입니다. 병들기 쉬운 생명체는 때 이르게 죽어가는 존재입니다. 때 이르게 죽어가는 존재가 생기는 것은 수탈 정치 때문입니다. 수탈 정치에게 “빼앗겼다는 것을 말”함으로써 “되찾기”가 시작됩니다. 되찾기는 “대항 텍스트적 현실”입니다. 대항 텍스트적 현실은 정치적 약자의 의무이자 권리입니다. 의무이자 권리인 것이 천명입니다. 바야흐로 천명의 시간이 박두하고 있습니다. 하늘의 때와 인간의 도모는 서로 북돋웁니다天時人事兩相催. 인간이 “자기 자신을 권력 관계에서 종속적인 위치로 배열하는 것”을 스스로 깨뜨리지 않는 한 대항 텍스트적 현실은 오지 않습니다. 대항 텍스트적 현실을 열려면 빼앗긴 사람이 지금의 “정체성을 적절하고 도덕적인 것”으로 여기는지 물어야 합니다. 질문이 바르면 바른 답의 기운이 옵니다. 할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