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의 증언 -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를 통해 생각하는 질병의 윤리학 ㅣ 카이로스총서 26
아서 프랭크 지음, 최은경 옮김 / 갈무리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우리의 몸(body)이 자아의 전부이자
운명이 되는 상황이 있다는 것을 절실히 깨달았다.
나는 내 몸 안에만 있었다.·······나의 몸은·······나의 재앙이었다.
나의 몸은 나의 신체적(physical)이고
형이상학적인 존엄이었다.
저자가 제사題詞에 장 아메리의 말을 올린 것은 의미심장합니다. 장 아메리는 제가 지난 2~4월에 주해 리뷰 37개를 쓴 책 『늙어감에 대하여』의 저자입니다. 기억하실 테지만 그는 레지스탕스 전사로 나치한테 잡혀 포로수용소에서 뼈마디가 으스러지는 고문을 받았습니다. 그러한 그의 증언을 책의 첫머리에 내세운 사실만으로도 이 책의 곡진한 지향과 육중한 문제의식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고문당해 짓이겨진 몸과 질병으로 고통 받는 몸은 다릅니다. 그 몸의 마음도 다릅니다. 마음이 다르면 증언도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다르지만 완전히 쪼개지지는 않습니다. 고문당한 외상도 결국은 질병입니다. 수많은 질병들이 사실상 사회정치적 고문의 결과로 나타납니다. 사회학자인 저자의 처지를 고려한다면 양자의 내적 중첩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문제를 대놓고 논급하지는 않습니다. 장 아메리의 인용이 독자들에게 초두효과를 일으켜 책 전체 내용의 행간을 읽는 인상으로 작용하리라 믿습니다.
고통 한가운데 있는 몸은 그 자체가 “재앙”입니다. 재앙이 “자아의 전부”입니다. 자아의 전부는 “나는 내 몸 안에만 있”습니다. 내 몸 안에만 내 “운명”이 흐릅니다. 운명으로서 “나의 몸은 나의 신체적(physical)이고 형이상학적인 존엄”입니다. 존엄의 인식과 공유는 고통 한가운데 있는 몸을 증언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고통 한가운데 있는 몸의 증언은 인간 윤리의 불가피한 지성소입니다.
인간 윤리의 알파와 오메가는 공존입니다. 공존의 윤리는 고통 받은 몸의 경험이 서로에게 번져감으로써 이루어집니다. 서로에게 번져가는 숭고한 수평 운동을 우리는 연대라 이름 합니다. 연대는 책임입니다. 책임의 자각은 고통 받는 몸에서만 일어납니다. 고통 받는 몸을 통해 발효되지 않은 그 어떤 깨달음도 부패한 깨달음일 따름입니다. 부패한 깨달음이 오늘 여기 세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오늘 여기 세상은 더는 공존을 꿈꾸지 않습니다. 공존을 꿈꾸지 않는 세상에서 어찌 살아야 할까요?
고통 받는 몸들이 일어나 제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 서로 그 목소리를 들어야 합니다. 서로 그 재앙에, 그 운명에 감응해야 합니다. 재앙과 운명을 공유한 사람들이 스스로를 구원하고 세상을 구원합니다. 정치학은 정치인의 것이 아닙니다. 거짓 정치 때문에 고통 받는 사람의 것입니다. 의학은 의사의 것이 아닙니다. 거짓 의료 때문에 고통 받는 사람의 것입니다. 돌들이라도 소리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