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가 먹고 싶다

 

이상국

 

사는 일은 밥처럼 물리지 않는 것이라지만

때로는 허름한 식당에서

어머니 같은 여자가 끓여주는 국수가 먹고 싶다

 

삶의 모서리에 마음을 다치고

길거리에 나서면

고향 장거리로 소 팔고 돌아오듯

뒷모습이 허전한 사람들과 국수가 먹고 싶다

 

세상은 큰 잔칫집 같아도

어느 곳에선가 늘 울고 싶은 사람들이 있어

 

마을의 문들은 닫히고 어둠이 허기 같은 저녁

눈물자국 때문에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사람들과

따뜻한 국수가 먹고 싶다

 

 

1960년대 서울의 성북구 동소문동 616번지는 달동네의 대명사였다. 가로세로 두 뼘 크기 창문을 열면 남산 정상이 빤히 건너다보이는 그 동네 오막살이집에서 10대의 10년을 살았다.

 

수많은 기억 가운데 가난의 표지인 우동국수가 오도카니 자리하고 있다. 동네 큰길 한 켠에 왕가 성을 가진 아저씨네 국수공장(!)이 있었다. 기계에서 뽑아낸 기다란 국수를 높다란 건조대에 널어 말리는 풍경은 매우 익숙하고도 아득한 것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국수에도 급이 있었기 때문이다.

 

넙데데하고 누런, 그래서 값싼 우동국수와 날씬 동글하고 뽀얀, 그래서 값비싼 소면국수. 이 둘의 차이는, 적어도 어린 내 눈에는, 하늘과 땅이었다. 사실 이런 느낌은 '면' 자체보다 완성된 상태의 '국수'에 대한 것이었다.

 

그 시절 허다한 아버지들이 그랬듯 오랜 실직 상태에 있었던 선친의 가난 탓에 간장 국물로 삶은 우동국수를 그나마도 하루 두 번 마시면(!) 호사였다. 주린 배를 움켜쥔 소년에게 그윽한 멸치 국물 아니면 빠알간 무채 김치와 어우러진 소면의 그 도도하고 낭창낭창한 자태란 가히 로망이었다. 언감생심 밥은 꿈도 꿀 수 없는 환상이었고.

 

오십 년 세월 흐른 어느 날 지하철역에 걸린 이상국의 <국수가 먹고 싶다>를 읽는다. 문득 어머니 같은 여자가 끓여주는소면 국수가 먹고 싶다. 소면은 내게 로망이었다, 아니, 이다, 아니, 일 것이다, 쭈욱~. 가난한 한의사의 허름한저녁식사여서 더욱 소담할 소면 국수. 치유가 걸어온다, 도도하고 낭창낭창한 자태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