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 아메리가 『늙어감에 대하여』를 펴내고, 제4판에서 결정적인 부분을 고쳐 쓴 뒤, 스스로 삶을 마감하기까지 10년, 그 중간 어디쯤 시간에 제 인생이 서 있었습니다. 그가 자신의 삶을 사랑으로 보듬고, 존경으로 예우하며, 최상으로 매듭지은 시간의 결과 겹을 제 삶의 감각과 사유, 그리고 행동에 포개기 참으로 적절한 기회였습니다. 지난 두 달, 때로는 서성이고 때로는 가부좌 틀고 때로는 누우며 그 포갬 속에 머물렀습니다. 쪼갬이 여명을 드러냈습니다.

 

저는 이 주해 리뷰를 쓰는 동안 홀연히 향아설위向我設位를 실행에 옮겼습니다. 향아설위는 수운水雲선생께서 태동시키시고 해월海月선생께서 완성한 위대한 제의祭儀 혁명입니다. 단도직입으로 말하자면 하느님을 내 맞은편 벽에 세우는 것, 그러니까 향벽설위向壁設位가 아니라 내 안에 세운다는 말입니다. 절이든 기도든 나를 향하여, 내게 하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사실 이 진리는 붓다께서도 그리스도께서도 이미 설파하신 것입니다. 다만 그를 따른다 말하는 자들이 제대로 알아듣지 못했을 따름입니다. 하여 오늘 여기 자신을 향하여 절하는 불자도 없고 자신을 향하여 기도하는 기독자도 없습니다. 그들이 절하고 기도하는 맞은편에는 다름 아닌 우상이 서 있을 뿐입니다. 불자에게 붓다는, 기독자에게 그리스도는 실제로 모두 우상일 따름입니다. 저는 불자도 기독자도 아닙니다. 아니 그런 우상숭배자이기를 거절합니다. 어느 새벽 문득 일어나 제게 절하였습니다. 어느 새벽 문득 무릎 꿇고 제게 기도하였습니다. 비로소 거기서 저 아닌 저를, 우상 아닌 붓다 그리스도를 만났습니다.

 

느닷없는 향아설위 향벽설위 이야기와 장 아메리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궁금하실 것입니다. 향벽설위는 이원론적 세계관의 산물입니다. 장 아메리가 저 치열함과 결곡함에도 깨부수지 못한 은산철벽이 바로 서구 이원론적 세계관입니다. 도처에 모순 감각과 역설 지향이 번득이지만, 그에게 죽음은 끝내 아我가 아니었습니다. 끝내 벽壁이었습니다. 그러면 길은 일원론에 있을까요? 이미 아시다시피 아닙니다. 제가 제게 절하고 기도함으로써 저 아닌 저를, 우상 아닌 붓다 그리스도를 만났듯, 진정한 향아설위는 불이불일不二不一의 세계관입니다. 여기가 길입니다.

 

제가 향아설위를 실행에 옮긴 것은 하늘에서 떨어진 벼락이 아닙니다. 사십 년 동안 축적해온 비대칭적 대칭의 사유가 변곡점에 도달하면서 일으킨 질적 전환입니다. 그 변곡점에 장 아메리라는 변수가 작용하였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프리모 레비와 함께입니다. 그들이 변수로 작용한 것은 외부에서 “습격”해오는 죽음의 문제, 그 상처에서 오는 죽음의 문제를 저와 우리 공동체가 긴급하고도 치명적인 현안으로 떠안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문제의식과 제 문제의식은 같으면서도 다릅니다. 같은 부분은 함께 다지고 다른 부분은 홀로 열면서 저는 제 길을 가야 합니다. 이 깨달음의 결과가 바로 향아설위입니다.

 

제게 남은 시간이 얼마인지 모릅니다. 모르므로, 그저 모를 뿐이므로 갑니다, 극진히 갑니다. 희망도 지나고 절망도 지나서. 낙관도 지나고 비관도 지나서. 나도 지나고 붓다 그리스도도 지나서. 마침내 삶도 지나고 죽음도 지나서. 오직 이뿐입니다. <끝>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4-21 23: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4-22 09:1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