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Le faux, c'est la mort.(121쪽)

 

북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우제는 100% 성공합니다. 왜냐하면 비가 내릴 때까지 계속해서 기우제를 지내기 때문입니다. 이 말을 가볍게 들으면 실소 흘리고 지나갑니다. 정색하고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겠습니다. 하나의 의문이 떠오릅니다. “이것을 과연 기우제라고 할 수 있는가?” 그 기우제를 지내지 않았더라도 때가 되어 올 비가 온 것이라고 합리적인 사고를 하면 답은 자명해집니다. 이 합리성은 객관적 사실에 입각한 것처럼 보이지만 하나의 세계관적 표현일 따름입니다. 자연과 인간은 하나인가 둘인가 하는 범주적 질문 앞에서 답 하나는 옳고 다른 하나는 그르다 말할 수 없습니다. 북아메리카 원주민에게는 기우제가 없었다면 비도 없었을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진실의 관점에서 보면 둘 다 옳고(皆是) 둘 다 그른(皆非) 것입니다. 둘 다 옳은 까닭은 둘 다 진실 아닌 것을 말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둘 다 그른 것은 진실의 전체를 모두 말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둘 다 그름의 영토를 줄이고 옳음의 영토를 넓히려면 자기 경계를 넘어 상대의 진실로 나아가야 합니다. 이 가로지름의 실재the Real를 얼마나 어떻게 구현하느냐에 따라서 천지가 갈립니다.

 

Le faux, c'est la mort.

 

장 아메리가 인용한 장 폴 사르트르의 말입니다. 어떤 문맥에 이 문장이 놓여 있는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진의를 정확히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프랑스어임을 감안한 고심의 흔적이 보이는 번역자의 번역도 의미가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직역하면 “오류, 그것은 죽음이다.”입니다. 간단해서 복잡한 속살을 알기 어려운 대표적인 문장입니다. 앞에서 북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우제 이야기를 먼저 꺼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죽음은 삶의 영역에 있는 사람이 쓸 수 없는 말입니다. 죽음(의 실상)을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설혹 안다고 해도 산 사람이 자기 죽음을 언급하는 것은 그 자체로 오류이기 때문입니다. 살아 있는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죽음을 염두에 두는 것도 실은 거짓에 지나지 않습니다. 오직 죽음에 ‘관하여’ 말하고 생각할 뿐입니다. 죽음에 ‘관하여’ 말하고 생각하는 것은 타인에게서 들려오는 풍문일 뿐입니다. 자기 자신의 죽음에 ‘관하여’ 말하고 생각하는 것은 사실 삶의 끄트머리, 죽음에 육박한 최후 시각, 그러니까 ‘23시 59분 59초’에 느껴지는 경계 감각입니다. 문제는 사실상 이 경계 감각입니다.

 

사이후이死而後已.

 

제갈량諸葛亮의 후출사표後出師表에 나오는 말입니다. 처음 원문을 보았을 때, 저는 이렇게 해석했습니다. “죽음이란 끝난 다음(일)일 뿐이다.” 따라서 죽음이라는, 산 사람 영역 밖의 생각에 홀리지 않고 혼신의 힘을 다한다, 그런 뜻이라고 말입니다. 지금도 여전히 이런 해석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우연한 기회에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해석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죽은 뒤에야 그만둔다(멈춘다).” 아, 그렇기도 하겠다, 싶었습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이런 표현과 새김은 오류입니다. 죽은 뒤에는 그만둘 주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제갈량도 해석자들도 모를 리 없습니다. 수사학적 표현임은 물론입니다. 그러고 넘어가려다 다시 정색하고 곰곰 생각합니다. 삶의 끄트머리, 죽음에 육박한 최후 시각, 그러니까 ‘23시 59분 59초’에 느껴지는 경계 감각이 다만 그뿐일까, 하는 의문이 솟아오릅니다. 말하자면 삶의 마지막 감각이 죽음의 첫 감각에 가닿을 수 있지 않느냐는 것입니다. 이 생각은 북아메리카 원주민이 기우제를 지내는 마음과 같은 유類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어떤 연속처럼 삶과 죽음의 어떤 연속 또한 진실의 분명한 특이점 아닐까요?

 

Le faux, c'est la mort.

 

정색하고 다시 한 번 생각합니다. 2014년 4월 16일 이후 저는 맹골수도의 아이들에게 죽음의 바다를 건너 지금의 역사로 돌아오라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수사학적 표현이 아닙니다. 삶과 죽음에 어떤 분명한 연속이 있다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마음 실재의 요청입니다. 여전히 죽음은 산 사람에게 오류입니다. 산 사람이 죽음을 말하고 생각하는 것은 거짓입니다. 저는 아이들의 죽음을 말하고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제 삶의 마지막 감각으로 아이들의 죽음 첫 감각에 가닿고자 하는 것입니다. 더없이 절실하고 거룩한 거래입니다. 이 거래가 변화를 낳을 것입니다. 아니 새로움을 지을 것입니다. 산 사람의 삶이 광활함the Spaciousness으로 나아가는 꼭 그만큼 실재는 현실이 될 것입니다. 실재가 현실이 되는 이 과정에서 우리는 Le faux, c'est la mort.라는 논리와 철학의 문장이 다음과 같은 정치경제학비판의 문장으로 변화되어 다시 태어나는 것을 목도하게 될 것입니다. Le faux de Corée, c'est la mort lycéene 250 de 2014. 4. 16. 어떻게 말하고 생각하고 변화하더라도 죽음의 오류를 진실의 화엄으로 끌어안는 것은 산 사람의 숙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