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몸을 통해 늙어가면서 몸을 적대시하는 나다. 젊었던 시절의 나는 몸을 등한시하면서도 몸과 더불어 나였다.(79쪽)

 

얼마 전 헌법재판소가 통합진보당 해산 판결을 내린 바 있습니다. 이 판결에서 다수의견에 가담했던 두 재판관이 이른바 대역불사론大逆不赦論을 펴며 이례적으로 보충의견을 내놓았습니다. 맹자와 한비자를 동원해가며 사뭇 비분강개한 어조로 민주주의 수호의 결기를 드러내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언어는 민주주의 언어가 아니었습니다. 봉건주의 언어였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은 사법 판단에 의거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추론 판단에 의거한 것이었습니다.

 

제가 이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통합진보당 정체성 문제나 헌법재판소 판결 문제를 직접 거론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보충의견에 나타나 있는 병리적 정서 상태를 말씀드리기 위해서입니다. 두 재판관이 실제로 그렇게 생각했는지, 자신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면서 대중을 염두에 두고 그리한 것인지 알 수는 없습니다. 분명한 것은 그 글이 실체적 진실에 터하지 않은 훈계조의 선동문임에 불과하다는 사실입니다. 그들의 그런 주장과 선택의 배후에는 공포와 불안, 적어도 그것을 이용하려는 심리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공포와 불안은 문제를 과도하게 의식하도록 조종합니다.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는 조직을 전제하고, 실제로 미미한 수준에 지나지 않는 힘을 부풀림으로써 의도적으로 전선을 형성하게 합니다. 바로 이것이 “적대시”라는 병리적 정서 반응reaction입니다.

 

정반대의 경우가 “등한시”입니다. 문제를 소홀하게 여기거나 문제에 무관심함으로써 공포와 불안에서 벗어나려는 병리적 정서 반응입니다.

 

적대시도 등한시도 문제에 대한 과민한 반응입니다. 반응은 문제를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병적인 행위입니다. 등한시는 외면의 전형입니다. 적대시는 외면이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엄밀히 따지면 그 또한 외면입니다. 있는 그대로 문제를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무엇이 문제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일까요? 적대시와 등한시의 경계에 있는, 바로 이것입니다.

 

직시.

 

직시는 과대화도 과소화도 하지 않은, 고요하고 맑은 건강한 감응response입니다. 감응은 문제를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려는 치유적인 행위입니다. 감응이 문제를 삶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는 힘은 그것을 긍정적으로 판단한 데서 나오지 않습니다. 부정적으로 판단하지 않은 데서 옵니다. 아니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부정 판단도 긍정 판단도 하지 않은 데서 옵니다. 모든 판단을 멈추고 그냥 알아차리는 것이 바로 직시입니다. 판단을 멈춘 마음은 고요하고 맑습니다. 고요하고 맑은 마음은 문제의 불투명성을 그대로 끌어안습니다. 장 아메리가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는 까닭이 바로 이 경계사건을 일으킬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적대시와 등한시의 모순이 그에게는 은산철벽銀山鐵壁이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 안타까움을 함부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 은산철벽 앞에 서보지 못한 자들의 싸구려 중도中道가 끼치는 해악을 우리는 너무나 처절하게 목도해왔기 때문입니다. 최고 경지의 대승불교라 자부하는 대한민국 불교 조계종이 세월호사건 직후 왕생극락 기원하는 현수막이나 내걸면서 붓다의 길을 따른다고 떠드는 것이 극명한 예입니다. 차라리 찰나마다 은산철벽에 부딪치며 피 흘리는 장 아메리의 비애가 숭고를 넘어 장엄에 육박하는 진실이 아닐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