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ㅣ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몸은 인간이 지닌 가장 지극한 진정성이다.(71쪽)
새삼스럽게, 정색하고, 멱살 잡아 온 몸을 흔들어대는 추상같은 말입니다. 이 말의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 저는 열흘 동안 침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입 닫은 열흘이 까마득하기 그지없습니다. 그 열흘의 한가운데 쯤 저는 한의원 문을 닫고 10,000리 밖 코타키나발루로 날아갔습니다. 제 손에는 크리스틴 콜드웰의『몸으로 떠나는 여행』딱 한 권이 들려 있었습니다. 사흘 동안 이 한 권의 책 속에 들어앉아 있었습니다. 절반도 채 못 읽은 채 돌아와 다시 들어앉았습니다. 오늘 오후 비로소 푸시시 깨어나 책 밖으로 걸어 나왔습니다.
의도醫道에 입문한 날의 기억은 하마 가물거릴 지경인데 인간의 몸을 치료한답시고 살아온 세월이 마치 시커먼 공동空洞처럼 느껴졌습니다. 무수히 손 댄 아픈 이들의 몸을, 하물며 그 “지극한 진정성”을 전혀 알지 못한다는 자책감에 짓눌려 단 한 줄의 글도 쓸 수 없었습니다. 심지어 제 자신의 몸조차, “지극한 진정성”으로 대하지 못하였다는 통렬한 각성 때문에 그야말로 몸 둘 바를 모르고 삥삥매었습니다. 더군다나 마음의 병을 치료하는 일에 삶의 중심이 기울어진 뒤부터 몸을 마음의 은유로 읽는 ‘악습’이 생겼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소스라치게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하여 돌연 진료를 멈추었습니다. 죽는 날까지 저는 이 열흘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물론 열흘이 제게 무슨 큰 성취를 가져다준 것은 아닙니다. 다만, 삶의 진실에 대한 각성·인정·수용·실천 모두가 몸에서 일어나 몸으로 돌아간다는 깨달음의 각인을 다시 뚜렷하게 남겼다는 사실만은 분명합니다. 몸이 마음의 몸이기 전에 먼저 마음이 몸의 마음이었다는 진실을 사무치게 느끼는 순간순간을 마주하게 했다는 사실만은 틀림없습니다. 필경 이것은 향후 제 인생 행보에 지속적으로, 아니 확산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것입니다. 몸을 뒷전 하는 마음 치료가 더는 행해지지 않아야 한다는 육중한 경고음을 날로 무겁게 발할 것입니다.
의자醫者인 제게 이토록 큰 충격인, “몸은 인간이 지닌 가장 지극한 진정성이다”라는 장 아메리의 통찰은, 그러면 어디서 온 것일까요? 장 아메리의 구체적 삶과 연결해야 정확한 이해가 가능합니다. 이 문장의 단호한 긍정성, 절대적 타당성과는 달리 앞뒤 문맥에는 깊고 푸른 절망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는 사실은 결정적 시사를 던져줍니다. 장 아메리의 늙어감에 대한 인식은 몸에 대한 인식으로 응축됩니다. 몸에 대한 인식은 뼈가 으스러지도록 당한 고문의 경험으로 응축됩니다. 뼈가 으스러지도록 당한 고문의 경험보다 더 “지극한 진정성”으로 “생명의 권리를 담보하는”(71쪽) 것이 또 있을까요? 죽음과 그대로 맞닿아 있는 가혹한 폭력의 한복판에서 “생명의 권리를 담보하는” 몸의 “지극한 진정성”을 두고 그 누가 차마 희망을 말할 것입니까. 절망의 심연에서 건져 올린 장 아메리의 이 래디컬한 말은 부박한 몸 담론 모두를 단칼에 베어버립니다.
래디컬한 말은 본디 자기 영지를 지니지 않습니다. 장 아메리가 몸소 그것을 증명해주었습니다. 문제는 남아 있는 우리입니다. 장 아메리가 남긴 수직의 진실에서 얼마간 타협한 사선을 타고 살아가야 하는 우리는 과연 우리 몸을 어떻게 “지극한 진정성”으로 삼을 수 있을까요? 이제 여기서 정말 몸을 느끼고는 있을까요? 고통에 찬 몸의 소리를 알아차리고 삶의 필연적 일부로 인정할 수는 있을까요? 어두운 몸도 사랑으로 껴안을 수는 있을까요? 내 몸이 남의 몸과 닿고서야 비로소 인간이라는 진실을 실천할 수는 있을까요?
오늘도 몸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과 하루를 살았습니다. 한의원 문을 닫고 홀로 앉아 제 몸을 생각합니다. 만집니다. 소리를 듣습니다. 냄새를 맡습니다. 거울을 통해 들여다봅니다. “지극한 진정성”에 가만히 깃들어 봅니다. 아직 벼락같은 느낌이 오지 않습니다. 언제 쯤 제가 그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을는지 기다려 달라 말씀드리지 못하겠습니다. 끝내 아무 소식이 없거든 그냥 잊으십시오. 하기는 이 남루한 언어들이야 잊으려 하기 전에 잊히고 말겠지요. 적요 뒤에 홀연히 몸, 그러니까 바로 그 몸이 온다면 지복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