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시간과 더불어 사라진다,······시간은 언제나 우리 시간, ‘살아낸 시간’temps vécu일 따름이다.······시간을 이야기하려면 우리는 공간세계의 비유를 필요로 한다.(21-24쪽)

 

바로 앞에서 기호A를 이야기하며 역설 문제를 화두로 든 바 있습니다. 사실 역설이라는 표현도 다치多値 논리를 수용하는 동양전통에서 보면 그다지 탐탁한 것은 아닙니다. 세계가 지닌 대칭성의 진실에서 보면 당연한 것이니 구태여 역逆이라는 역한 표현을 쓸 까닭이 없으니 말입니다. 대칭성에서 예시한 것 가운데 동同:이異는 일치(포개짐)·맞물림·항상恒常과 차이(쪼개짐)·어긋남·변역變易의 문제를 기억하실 것입니다. 거기서 다시 항상恒常과 변역變易의 짝을 뽑아 오늘 이야기의 주제로 삼겠습니다.

 

세계는 늘 그러한 존재being와 바뀌어 되어가는 생성becoming의 대칭으로 구성됩니다. 그 구성 세계는 자발적으로 깨어져 사건 세계를 만들어갑니다. 이 대칭을 다른 이름으로 말하면 공간과 시간입니다. 그러니까 공간은 항상성의 축에 서고 시간은 변역성의 축에 선다는 말입니다. 물론 궁극적으로 항상성은 변역성에 포함包涵(包含 아님)됩니다. 붓다는 이를 무상無常의 진리로 선언하였습니다. 이제 여기 우리의 필요를 좇아 말한다면 시간이란 변화의 장이자 그 인식조건입니다. 그러므로 그 자체로는 이야기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공간세계의 비유”로만 이야기가 가능합니다. 변화의 결과가 그렇게 현현되기 때문입니다. 공간 은유로 전해지는 시간-사건, 그러니까 변화는 우리의 체험을 통해서만 진실입니다. “우리는 시간과 더불어 사라진다,”는 말에 이 진실이 담겨 있습니다.

 

장 아메리의 진실은, 그러나 부분적 진실입니다. 우리는 시간과 더불어 가기 전에 시간과 더불어 왔습니다. 오지 않았다면 가지 못합니다. 오고감의 쌍방향 변화, 그 무상의 진실을 깨친 붓다의 진리를 만났다면 장 아메리는 과연 어찌 되었을까요? 대답은 진부합니다. 그 진부한 대답 대신 우리는 돌이켜 이런 질문을 해야만 합니다.

 

“장 아메리는 왜 변화, 그것도 사라짐에 이토록 강고하게 착념하였을까?”

 

장 아메리에게 시간은 “살아낸” 것만 시간입니다. 그가 살아낸 시간은 나치가 파괴한, 그러니까 변화시킨 세계와 맞선 투쟁의 시간이었습니다. 그 투쟁의 와중에 잡혀 잔혹한 파괴, 그러니까 변화의 폭력을 온몸으로 당한 시간이었습니다. 멀쩡한 뼈가 으스러진 시간이었습니다. 마침내 마이어가 아메리로 바뀐 시간이었습니다. 그의 시간에서 그에게 강요된 변화가 너무나 격렬하고 고통스러운 것이었으므로, 그래서 불가항력으로 변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그 변화의 시간은 “무어라 말할 수 없는 허무”로 규정된 것입니다. 그 늙어감의 변화가, 그 죽어감의 변화가 균형·타협·통속화·싸구려 위로로 희화되는 꼴을 결코 인정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부분은 오류입니다. 그러나 장 아메리의 오류를 말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그가 “살아낸” 시간을 톺아보아야 합니다. 그의 “시간, 그 무어라 말할 수 없는 허무”가 그의 “살아낸” 시간에서 가지는 진릿값은 남은 사람의 “살아낸” 시간에 따라 1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진리를 말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자신이 “살아낸” 시간을 균형·타협·통속화·싸구려 위로로 검증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321일째 2014년 4월 16일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제 여기 우리가 살아내는 시간은 과연 어떤 시간일까요? 우리는 시방 시간과 더불어 사라지고 있는 중일까요? 영령들이 생사의 강을 건너 우리에게 오고 있는데도 그들을 역사로 세우지(常) 못한 채 신화로 떠내려가게(變)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