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 육체노동이었던 라거의 노동에서, 일반적으로 교양 있는 사람의 상황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더 나빴다. 육체적으로 힘이 모자랐을 뿐만 아니라, 노동자나 농부였던 자신의 동료들에게는 비교적 자연스러운 연장에 대한 친근함과 단련도 부족했다. 반면 날카로운 굴욕감과 박탈감, 바로 그·······잃어버린 존엄에 괴로워했다.(160쪽)

 

문맥을 살펴보면 마지막 문장 선두에 서 있는 ‘반면’이란 말은 아무래도 이상합니다. 앞의 두 문장이 지식인의 육체(노동과 연장)에 대한 둔감함을 말하고 마지막 문장이 존엄의 상실에 대한 민감함을 말한 것이라 하더라도 라거의 극단적인, 그러니까 육체노동 일색이었던 상황을 고려할 때 한 쪽의 둔감함이 다른 한 쪽의 민감함을 가파르게 증가시켰을 것임에 틀림없으므로 ‘반면’보다는 ‘그럴수록 더’가 들어서야 자연스럽지 않을까요.

 

사소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지식인 아닌 사람들이 비교적 더 잘 견디고 있는 상황에서 지식인이기 때문에 더욱 “날카로운 굴욕감과 박탈감, 바로 그·······잃어버린 존엄에 괴로워”하는 바로 그 감수성이야말로 지식인의 지식인 된 까닭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탱맑은 시인 김선우의 표현을 빌어서 말해 보자면 “가장 먼저 슬퍼하고 가장 나중까지 슬퍼하는” 사람이 바로 지식인이기 때문입니다.

 

뒤집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지식인이 아닌 사람들보다 먼저, 더 날카롭게 잃어버린 존엄에 괴로워하려면 그들이 지닌 통속한 삶의 능력이나 기술에서 뒤진 삶을 선택해야 합니다. 지식인이 타고난 것이 아닌 한 통속한 삶의 성공이 가져다주는 편리함에 물들고서야 어찌 잃어버린 존엄에 괴로워할 것입니까. 아니, 존엄을 잃어버렸다는 사실 자체를 생각하지도 못할 것입니다. 그 성공이란 다름 아닌 권세 있음과 돈 많음입니다.

 

돈이 신이고 권세가 종교인 세상에서 지식인은 한사코 무신론자여야만 합니다. 무신론자의 삶은 등 시리고 배고픈 삶입니다. 제 등 시림으로 제 배고픔으로 새끼 등 따시고 배부르게 하는 어미처럼 지식인은 세상을, 시대를 키워내는 양육자여야 합니다. 특히 자본과 권력이 대놓고 새끼들 죽이는 이 대한민국에서는 더더욱 극진한 어미여야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