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사소통은 할 수 있고 또 해야 한다. 의사소통은 타인의 평화와 자기 자신의 평화에 기여하는 쉽고도 유용한 방식이다. 왜냐하면 신호의 부재인 침묵은 그 자체가 하나의 신호이지만 모호하고, 모호함은 불안과 의심을 낳기 때문이다. 의사소통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거짓이다. 의사소통은 언제나 가능한 것이다. 의사소통을 거부하는 것도 잘못이다. 우리는 생물학적으로 또 사회학적으로 의사소통에 대한 성향을, 특히 언어라는 고도로 진화되고 숭고한 형태의 의사소통의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105쪽)

 

세계의 구조는 기우뚱한 비대칭의 대칭을 이룹니다. 기우뚱한 비대칭의 대칭은 자발적으로 깨뜨려져 세계의 운동으로 일렁이며 번져갑니다. 자발적 깨뜨려짐을 되풀이하면서 세계는 구조와 운동의 무한 거래去來를 이어갑니다. 이 거래를 인간 척도human scale에서 표현한 것이 바로 의사소통입니다. 의사소통은 그러므로 인간 척도에서 구현해내는 세계의 진실입니다.

 

의사소통은 존재론적 문제입니다. 프리모 레비는 이를 “언어라는 고도로 진화되고 숭고한 형태의 의사소통의 성향”이라 표현합니다. 그가 이 문제에 대해 단호한 어법을 이어갑니다.

 

할 수 있고 또 해야 한다” “부정하는 것은 거짓이다” “언제나 가능한 것이다” “거부하는 것도 잘못이다

 

존재론적 차원의 “숭고한” 것을 아우슈비츠의 나치가 폭력과 수탈의 메커니즘을 통해 “부정”하고 “거부”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의사소통을 부정하고 거부한 것은 곧바로 포로들의 인간성 부정·거부, 그러니까 살상으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문학이나 철학에서 말하는 타자에 대한 원천적 접근불가능성 문제와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악의적으로 ‘일상’의 소통을 단절시키고 바로 그 단절 상황을 살해의 근거로 삼은 그악한 범죄의 문제입니다.

 

의사소통의 부정·거부는 세월호 사건에서도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자행되었습니다. 배가 기울고 물이 들어오는 순간에 아이들의 의사와 행동 표현은 차단되었습니다. 오직 이 말만이 일방적·폭력적으로 전달되었습니다. 그러니 오직 이 말만이 말이었습니다.

 

“가만히 있으라.”

 

다른 언어를 침묵으로 묶어놓았을 때 “불안과 의심”이 요동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아이들은 휴대폰을 붙잡고 불안과 의심을 진정시키는 의사소통을 시도했습니다. 끝내 이루어지지 못한 외로운 소통은 손자국으로 남았습니다. 그 손자국을 지우기 위해 침묵 속에서 아이들은 다시 부정과 거부를 당했습니다. 그렇게 죽여지고 또 죽여졌습니다. 아우슈비츠와 마찬가지로 의사소통의 부정과 거부는 곧바로 살해를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끝난 것이 아닙니다. 지금도 여전히 의사소통의 부정과 거부는 관철되고 있습니다. 침묵이 퍼뜨리는 불안과 의심은 나날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세월호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나라 전체에 의사소통의 부정과 거부가 강요되고 있습니다. 침묵이 퍼뜨리는 불안과 의심이 마침내 모든 백성의 마음으로 번져가고 있습니다. 위 인용문 마지막 문장 뒤에 놓인 이 문장을 꺼내 듭니다. 인간이기 위하여. 인간으로 살기 위하여.

 

모든 인간은 말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