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에는 ·······매우 투철한 고찰, 인간 존재에 대한 한 점의 타협도 없는 인식이 관통하고 있으며, 그렇기에 끝 모를 깊은 절망감이 배어 있다. 이 책은·······우리가 끊임없이 되돌아가야 할 사상적 좌표축이라고 할 수 있다.(272쪽)

 

프리모 레비가 인간 존재에 대한 한 점의 타협도 없는 인식관통시킬 수 있었던 것은 “상상을 뛰어넘는 폭력의 피해자이자 ‘인간성 파괴’의 희생자인 당사자”(273쪽)였기 때문입니다. 물론 지극히 드문 일, 아니 거의 있을 수 없는 일, 그래서 여태껏 이런 글쓰기는 없었던, 그런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우리가 끊임없이 되돌아가야 할 사상적 좌표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 관견으로 볼 때 프리모 레비의 삶과 그 이야기는 붓다 공자 그리스도 무함마드조차 담지 못한 삶이며 이야기입니다. 시대마다 사회마다 다른 인연을 짓게 마련이지만 거대한 권력집단이 치밀한 기획으로 대량학살, 회자되는 바 6백만 명을 살해한 수용소에서 붓다 공자 그리스도 그 누가 살았으며 팔만대장경 사서삼경 신구약성경 코란 그 무엇이 그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까.

 

이것은 심오함이나 방대함의 문제가 아닙니다. 인간 존재에 대한 한 점의 타협도 없는 인식의 문제입니다. 인간 존재에 대한 한 점의 타협도 없는 인식이 반드시 인식 주체의 삶의 경험에서만 나오지는 않겠으나 경험에서 나온 인식과 그렇지 않은 인식의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 것 또한 이치입니다. 붓다 공자 그리스도 무함마드가 만일 프리모 레비와 같은, 아니 (불가능한 가정이니 표현을 바꾸어) 비슷한 경험을 했다면 그들의 가르침은 과연 어떠했을까요?

 

아니, 좀 더 시비조로, 좀 더 진부한, 그러나, 그래서 본질에 육박하는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그 분들의 가르침이 그토록 고결하고, 그 분들을 따르는 무리가 지구를 뒤덮고 있었으며, 그 지도자들의 높은 깨달음이 하늘에 닿아 있었는데 어찌하여 프리모 레비가 아우슈비츠로 끌려가는 일이 일어났을까요? 아우슈비츠 가스실 한복판에서는 어찌하여 저 전능한 신들이, 저 살아 있는 말씀들이 속수무책이었을까요?

 

답을 기대한 질문이 아님은 이미 우리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답은 거기서가 아니라 여기서 나옵니다. 답은 거기 높은 곳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답은 여기 낮은, 낮디낮은 곳에서 나옵니다. 우리는 기필코 사상적 좌표축을, 아래로, 이동시켜야 합니다. 환희의 높이를 말하지 말고 고통의 깊이를 말해야 합니다. 고결한 깨침에 열반이 있는 것이 아니라 깊디깊은 고통으로 떨어지지 않고 일상을 보전하는 것에 열반이 있습니다. 하늘에 있는 나라로 들림 받는 것이 구원이 아니라 가스실에서 죽임당해 깊은 구덩이로 던져지지 않는 것이 구원입니다.

 

종교가, 철학이 높은 경지를 말하는 것과 악의 세력이 더욱 깊이 뿌리를 내리는 것은 불가분리의 관계에 있습니다. 전두환을 수괴로 하는 신군부가 광주에서 대학살을 자행한 것이 1980년입니다. 그 이듬해 성철은 돈오돈수의 기치를 높이 듭니다. 달마 이래 최고 선사라 하는 성철이 이룬 돈오돈수가 무고히 죽임당한 광주 시민의 목숨에 대해서는 과연 무엇이었을까요? 그것이 대승이란 말입니까? 히틀러의 만행을 보다 못해 그를 죽이기 위한 비밀결사에 참여한 목사가 있습니다. 디트리히 본회퍼. 그가 정녕 대승이 아닐까요?

 

이 땅의 언필칭 대승불교가 ‘참 나’를 찾는다며 사람들을 높은 곳으로 이끌 때, 개신교가 ‘예수 천당 불신지옥’을 외치며 사람들을 높은 곳으로 이끌 때, 불의한 권력은 생떼 같은 아이들을 “가만히 있으라.” 윽박질러 맹골수도 깊은 바다로 데려갔습니다. 우리가 인간 존재에 대한 한 점의 타협도 없는 인식에 도달하기 위해, 그러니까 ‘참 나’를 찾기 위해, ‘천당’과 ‘지옥’의 사이에 선 존재임을 자각하기 위해 과연 무엇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까요?

 

서경식은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에 드리워진 프리모 레비의 감정 상태를 “끝 모를 깊은 절망감”이라고 묘사했습니다. 이것으로는 태부족입니다. 거기에 덧붙입니다.

 

“삼킬 듯이 달려드는 공포, 저미는 슬픔, 가뭇없는 허무, 뼛속 깊이 파고드는 고립감, 짓이겨오는 수치심, 아득한 막막함. 이 모든 것들이 엉겨 붙은, 형언하기 어려운 절멸의 정서.”

 

여기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한, 열반도 구원도 허망한 말장난이며 잡생각일 따름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그런 절멸의 정서에 휘감겨 가라앉은 지, 오늘 209일 째입니다. 209년, 아니 209겁이 지나도 우리는 이 좌표축으로 돌아와야만 합니다. 인간이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