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력은 가까이에, 우리 주위에 있어요. 그리고 폭력이 낳은 폭력도 있습니다.·······폭력 사이에는 숨어 있는 연결고리가 있습니다. 우리사회는 미디어를 통해·······폭력을 보급합니다. 폭력을 확대하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는 거죠.(256쪽)

 

변호사인 한 친구와 식사를 함께 한 적이 있습니다. 공안검사 출신으로 보수적 정치 경향을 지닌 그의 입에서 법에 대한 정의가 나왔습니다.

 

“자네는 법학도에서 멈춘 다음 성직자와 의료인의 삶을 살아왔으니 여전히 법에 대해 이상적인 생각을 유지하고 있을 걸세. 현실 법조인인 내 견지에서 보면 법이란 다만 기득권 집단의 곳간을 더 채우는 일에 봉사하는 장치일 뿐이야. 인간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보장도 결국은 혁명을 막기 위한 전략의 산물이지.”

 

그의 말은 의외인 측면도 있고 당연한 측면도 있습니다. 그의 솔직함이 이 대칭성을 가로지르게 해줍니다. 우리사회의 실상을 감안할 때 부득불 인정할 수밖에 없는 ‘진실’입니다. 행정부 소속인 검찰은 차치하고 사법부인 지방법원부터 헌법재판소까지 최근 나오는 판결을 보면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는 바 있습니다. 거대 로펌으로 상징되는 변호사 집단 또한 법의 이러한 정의를 뒷받침해줍니다.

 

이런 사회 상황을 설명할 핵심 개념이 권력임은 두 말 할 나위가 없습니다. 권력은 정치를 통해 형성되고 정치는 법을 통해 정당화됩니다. 결국 권력은 법에 의해 정당성을 부여받은 폭력입니다. 법의 이름으로 폭력을 아(생산) 양육(보급)하는 확대재생산의 메커니즘 그 자체가 바로 권력인 것입니다.

 

폭력으로서 권력이 아우슈비츠를 만들었고 폭력으로서 권력이 세월호를 만들었습니다. 이 권력과 저 권력 사이의 연결고리는 무엇일까요? 탐욕. 그 보편적 탐욕. 제약 불가능의 탐욕. 권력의 탐욕을 지탱해주는 힘은 다시 폭력을 당하는 자들의 알량한 탐욕, 그러니까 권력이 떨어뜨려주는 추악한 미끼에서 나옵니다. 그 미끼를 덥석 물 수밖에 없는 곡절은 공포와 무지에 있습니다. 권력은 미디어를 통해 공포를 증폭시키고 지식을 통제합니다. 우리는 205일 째 이 미디어를 통해 세월호에 대한 공포와 무지를 원 없이 공급받고 있습니다.

 

겨울은 가차없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저 차가운 팽목 바다 어찌 하려고 우리가 이렇게 맥없이 있는 걸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